산림천이는 몇 단계의 산림생태계 변화과정을 거쳐 최종단계인 극상림에 도달하는 것으로 우리나라 온대림의 극상림 을 이루는 대표 수종이 서어나무라고 하는 많은 연구결과가 제시되어 왔다. 특정지역 또는 국지적으로 나타나는 서어나무의 상관 군락을 대상으로 식생구조와 천이과정의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우리나라 온대림의 극상림으로서 서어나 무림을 제시한다는 것은 논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7년까지 17개산 75개소의 서어나무림을 대상으로 식생유형과 층위구조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생태적 천이경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유형분류는 식물 사회학적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층위구조는 중요치를 분석하여 파악하였다. 종조성에 따른 유형분류결과, 총 6개의 식생단위와 9개의 종군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서어나무군락군은 난티나무군락, 개암나무군락(갈참나무군, 개암나무전 형군), 철쭉군락(물들메나무군, 개서어나무군, 철쭉전형군)으로 분류되었다. 각 층위별로 중요치를 분석하여 서어나무 림의 천이경향을 예측해 본 결과, 서어나무림은 ① 당분간 서어나무림으로 유지되는 유형(식생단위 2, 3, 6), ② 까치박 달림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유형(식생단위 1, 4), ③ 붉가시나무림으로 천이가 진행되는 유형(식생단위 5)의 총 3가지 천이유형으로 나타났다.
Many ecological studies regarding forest succession, which is the process of arriving at climax forest through ecological changes, have suggested that Carpinus laxiflora is the leading tree type of the climax forest of temperate zone in South Korea. However, most of these studies on C. laxiflora forest have focused on vegetation structure and succession process in specific areas or regional physiognomical forest communities, and thus some may question whether it is rational to consider C. laxiflora forest as the climax forest in South Korea’s temperate forest z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egetation classification, species composition, and stratum structure and to investigate the succession tendency with the vegetation data collected from C. laxiflora forests in 75 quadrates in 17 mountains between 2014 and 2017. We used the phytosociological method to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importance value to analyze the stratum structure. The results showed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6 vegetation units and 9 species groups. The hierarchy of the C. laxiflora community group was represented by the Ulmus laciniata community, Corylus heterophylla community (subdivided Quercus aliena group and Corylus heterophylla typical group),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ommunity (subdivided Fraxinus chiisanensis group, Carpinus tschonoskii group,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ypical group). Successional tendency of C. laxiflora forest based on the importance of each layer is predicted to be the total of three types such as to maintain the stand (vegetation units 2, 3, and 6), to success the Carpinus cordata forest (vegetation units 1 and 4), and to success Quercus acuta forest (vegetation uni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