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교육·보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의 성과와 내실화 방안 KCI 등재후보

The Outcomes and Emerging Issues of ⌜Nuri-curriculum ⌟ as a National Curriculu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52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유아교육연구 (korean Jouran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유아교육·보육 현장에 적용된 지 6년차에 접어든 누리과정의 성과와 한계를 분석하고 내실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누리과정의 성과는 유아교육의 질 제고, 생애초기 출발점 평등 보장, 인성강화, 국가 수준교육과정으로서의 체제 구축, 교육과정의 연계성 지향 등의 5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내실화 방향을 상시연구체제구축, 교육과정 대강화, 유초중등 공동 연구, 특수계층에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학부모인식제고, 교사연수 등의 6가지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누리과정이 명실상부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먼저 누리과정의 목적이 생애초기 출발선상의 평등과 기회 보장을 위한 교육의 질 관리라는 점을 간과하지 않고 누리과정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지향점을 분명히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그 목적에 부합하는 성과가 어느 정도로 있었는지 누리과정 운영 실태 및 효과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이 현재보다 한층 더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Nuri-curriculum which has been applied to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field for six years, and proposes the improvement directions. The outcomes of the curriculum were examined in 5 aspects: raising of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uaranteeing of equal starting point in early life, strengthening of humanistic education, establishing a system for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pursuing of curriculum connectivity. Then, emerging issues were proposed based on the following 6 aspects: building regular research system, strengthening the curriculum, joint research on early childhood/elementary/junior high school education, developing curriculum suitable to exceptional class, raising parents’ awareness, and teacher training. In order for Nuri-curriculum to become a truly national level curriculum, the goal of Nuri-curriculum should be clearly set without overlooking the fact that the purpose of Nuri-curriculum is to manag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guarantee equal starting point and opportunity in early life. Additionally, the empirical analysis of Nuri-curriculum should be performed from diverse perspectives to see how its outcomes have served its purpose.

목차
요 약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누리과정 성과 관련 연구물 추출 및 선정
  2. 연구물 분석
 Ⅲ. 교육보육과정으로서 누리과정의 성과와 한계
  1. 유아교육의 질 제고 관련
  2. 생애초기 출발점 평등 보장 관련
  3. 인성·창의 강화 관련
  4. 국가수준교육과정으로서의 체제 구축 관련
  5. 교육과정의 연계성 지향 관련
 Ⅳ. 향후 누리과정 내실화 방안
  1. 국가수준교육과정 개정 상시 연구 체제 구축
  2. 국가수준교육과정으로서의 대강화
  3. 국가교육과정의 연계성을 위한 유초중등 공동 연구 추진
  4. 취약계층 및 특수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개발
  5. 유아에게 적합한 교육과정으로서의 누리과정에 대한 학부모 인식 제고
  6. 누리과정 운영 교사 연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조부경(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교수) | Cho, Boo-Kyung
  • 김경은(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과 박사학위과정) | Kim, Kyung-Eu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