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응력 수정 계수를 고려한 피로 제약 조건 구조물의 위상최적설계 KCI 등재

Fatigue Constrained Topological Structure Design Considering the Stress Correction Fa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2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한국전산구조공학회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초록

본 논문에서는 페이즈필드 설계법 기반의 피로 제약 조건 구조물의 위상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페이즈필드 설계법의 도입으로 기존의 위상최적설계법에서 발생하기 쉬운 중간 영역의 크기를 크게 감소시켰다. 수정된 upper bound P-norm의 도입으로 모든 지점의 응력 성분을 고려하면서, 전역적 응력값이 국부적 최대 응력값과 근사한 값을 가질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피로 파괴 제약 조건 위상최적설계에서 다루지 않았던 응력 수정 계수에 대한 고려를 위하여 위상최적설계 결과물의 1차 주응력 성분을 고려하여 응력 수정 계수를 도입하고 이에 따라 허용 응력 진폭 값을 수정 하였다. 이를 통하여 인장 응력으로 인한 내구 한도 감소 요인을 반영한 체계적인 설계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a structure satisfying the fatigue constraint is designed by applying the topology optimization based on the phase field design method. In order to predict life based on the stress value, high cycle fatigue failure theory in which stress acts within the range of elastic limit is discussed and three fatigue theories of modified-Goodman, Smith-Watson-Topper and Gerber theory are applied. To calculate the global maximum stress, a modified P-norm stress correction method is us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obtain topology optimization results that minimize the volume while satisfying the fatigue constraints. By applying the phase field design method, a simple shape with a minimized gray scale was obtained, and the maximum stress value acting on the optimization result became very close to the allowable stress value due to the modified P-norm stress method. While previous studies does not consider the stress correction factor, this study proposes the determination method regarding the stress correction factor considering loading effects related to axial stress components.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응력 기반 위상최적설계
  2.1 DWP 함수를 적용한 페이즈필드 설계법
  2.2 Modified upper bound P-norm 응력
  2.3 피로 제약 조건
  2.4 응력 수정 계수
 3. 최적화 결과
  3.1 평균응력이 0인 경우
  3.2 응력비가 0.6인 경우
  3.3 응력비가 1.5인 경우
  3.4 응력 수정 계수를 적용한 경우
 4. 결 론
 후 기
 References
 요 지
저자
  • 김대훈(연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Daehoon Kim
  • 안기수(연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Kisoo Ahn
  • 정승환(연세대학교 대학원 기계공학과) | Seunghwan Jeong
  • 박순옥(동서울대학교 기계자동차과) | Soonok Park
  • 유정훈(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 Jeonghoon Yo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