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딸기재배 시 연소식 탄산가스 발생기 이용 효과 구명 KCI 등재

Effect of Using Burn-type CO2 Generators When Cultivation Strawberry in a Greenhou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77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저온기 시설 딸기재배에서 연소식 탄산가스 발생기를 이용한 재배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시설내부 일중 탄산가스 농도는 6시에서 11시 사이에 대조구가 210~600μmol·mol-1 이었고, 탄산가스 시용구는 800~1,100μmol·mol-1 이었다. 그 외 시각에서는 대조구와 유사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온실내 온도는 연소 방식 탄산가스 시용구는 오전 6시 ~ 10시 대조구에 비 해서 1~3oC 높았다. 11시 이후에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었다. 초장, 엽장, 엽폭, 관부직경, 생체중, 건물중 등 생육은 처리 간 차이가 없었다. 상품수량은 대조구 3,612kg에 비해서 탄산가스 공급하는 것이 4,131kg으로 519kg 더 무거웠으며 탄산가스 발생기에서 총수량이 대조구에 비해서 17%가 증수 되었다.

This study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iciency of using burn-type CO2 generators in greenhouse for cultivation ‘Seolhyang’ strawberry (Fragaria× ananassa Duch.) during winter season. The concentration of CO2 was 200 to 600 μmol·mol-1 in the control, and 800 to 1,100 μmol·mol-1 in using burn-type CO2 generator between 6 and 11 hours. At other times, it was observed that at similar concentration in the control and using burn-type CO2 generator. Measured greenhouse air temperature inside the of using burn-type CO2 generator was 2 ~ 3oC higher than the control at 6 ~ 10 am. There was no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reatments after 11 o’clock.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root diameter, fresh weight, and dry weight were not different between treatments. The marketable yield (kg/10a) of using burn-type generator were 4,131 kg, which was 519 kg higher than the control. Therefore, the total fruit yields increased 17% compared to the control.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이재한(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Jae Han Lee
  • 이중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Jung Sup Lee
  • 박경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Kyoung Sub Park
  • 권준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Joon Kook Kwon
  • 김진현(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Jin Hyun Kim
  • 이동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Dong Soo Lee
  • 여경환(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IHHS, RDA) | Kyung Hwan Ye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