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공간의 깊이감 지각과정에 나타난 시각정보획득 특성 KCI 등재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of Visual Attention during Spatial Depth Percep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8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디자인 과정과 실제 공간을 사용함에 있어 공간감을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동일한 공간이라도 어떻게 디자인하느냐에 따라 공간의 깊이감에 대한 지각이 달라질 수 있다. 공간의 3차원적인 속성인 넓이, 깊이, 높이 중 넓이와 높이감에 대한 이론과 연구들에 비해 깊이감에 대한 이론이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적은데 이는 넓이 나 높이에 비해 공간의 깊이감이 초래하는 효과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던 원인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Computer Graphic으로 제작한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시선추적장치를 이용하여 깊이감에 대한 지각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44명의 실내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실험에 참가하여 마주보이는 벽면에 깊이감을 자극하는 구성요소를 달리한 3개의 이미지를 보며 가장 깊어보이는 공간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3개의 이미지간에 주시시간의 차이가 나타났고, 가장 깊어 보이는 공간에 대한 응답에 따라서도 주의집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깊이감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과 기존 정설에 대한 정량적인 타당성을 제시하고, 이상적인 공간의 깊이감을 얻을 수 있는 디자인 방법 개발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spatial perceptio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e design process as well as in the use of actual spaces. The perception of spatial depth can vary according to the space composition and design even there is no change in the actual size of the space. The properties of 3-dimensional space are its width, height, and depth; however, compared to the perception of spatial width and height, little research and theories exist on spatial depth perception. The reasons may be there less interest lies in the effect of spatial depth perception than that of spaciousness or height of space. This study is an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of spatial depth perception using an eye-tracking device with stimuli developed through Computer Graphics. A total of 44 interior design major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eye tracking experiment; and they looked at three images comprised of an identical room with only changes in the rear wall condition. The results show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ixation duration per stimulus exists.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exists on the fixation duration per stimulu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answer of the deepest space.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help identify factors for spatial depth perception, validate the assumption on it, and provide knowledge on how to acquire desirable spatial depth by utilizing the research result.

목차
Abstract
 요 약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2. 시선추적 실험과 공간의 구성
  2.1. 공간의 깊이감 지각 특성
   2.1.1. 깊이감 지각 특성과 실험공간의 구성
   2.1.2. 시선추적을 이용한 공간의 시지각 연구
  2.2. 공간의 기본 골격 구성
  2.3. 시선추적 실험데이터의 정리
   2.3.1. 시선추적 실험의 진행
   2.3.2. 시선추적 실험을 위한 목적성 문구
   2.3.3. 분석의 틀 설정
 3. 관심영역별 주시데이터의 분석
  3.1. 실험데이터의 분석
  3.2. 공간이미지별 주시특성
   3.2.1. 공간이미지별 주시시간
   3.2.2. 공간구성요소별 동공의 상대적 크기
 4. 공간구성에 나타난 성별 주시특성
  4.1. 공간유형별 주시량 특성
   4.1.1. 공간A의 주시량
   4.1.2. 공간B의 주시량
   4.1.3. 공간C의 주시량
  4.2. 성별 공간구성요소의 특성
   4.2.1. 남자 피험자의 주시특성
   4.2.2. 여자 피험자의 주시특성
  4.3. 공간구성별 주시특성
   4.3.1. 「벽」의 주의집중 특성
   4.3.2. 「가구」의 주의집중 특성
   4.3.3. 「배경」의 주의집중 특성
  4.4. 깊어 보이는 공간 응답
 5. 결론
 REFERENCES
저자
  • 김종하(동양대학교 건축소방안전학과, Department of Architecture & Fire Safety, Dongyang University) | Jong-Ha Kim
  • 조지영(경희대학교 주거환경학과, Department of Housing & Interior Design, Kyung Hee University) | Ji Young Cho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