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parative analysis of methods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in dam reservoir KCI 등재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94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댐의 효율적인 계획 및 운영을 위해 댐 저수지의 최적 퇴사위 결정 방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안전한 설계에 의거하여 댐 저수지 사수위 내의 퇴사위 결정 방법은 비교적 높게 산정되는 수평퇴사법을 주로 적용하고 있지만, 댐 저수지의 퇴사위는 정확하게 계획되어야 하며, 이는 댐 생애주기 평가 차원에서도 중요한 요소이다.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을 위해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RMA-2와 연계된 SED-2D의 모형에 의한 방법, 수평퇴사법, 면적증분법(area increment method), 경험적면적감소법(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퇴사위 결정을 위해 이를 산정하여 2007년 기준 실측 퇴사위와 비교하였다. 또한, 현재 및 미래 퇴사위를 예측하여 각 방법별로 경향과 추이를 분석하였다. 실측 퇴사위와 산정된 퇴사위를 비교한 결과, 경험적면적감소법이 실측값과 가장 근사하게 산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현재 및 미래의 퇴사위는 전반적으로 과거 퇴사위의 경향과 추이를 따라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보면 경험적면적감소법의 이용이 적절할 것으로 판단되고, 모형에 의해 분석 결과의 타당성을 검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o determine the optimal sediment level in dam reservoir for efficient plan and operation of dam. Currently, Korea is applying a horizontally accumulated method for sediment level estimation for the safety design of dam and so the method estimated relatively higher level than others. However, the sediment level of dam reservoir should be accurately estimated becaus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assessing life cycle of a dam. The sediment level in dam reservoir can be determined by SED-2D model linked with RMA-2, horizontally accumulated method, area increment method, and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The estimated sediment level from each method was compared with the observed sediment level measured in 2007 in Imha dam reservoir, Korea and then the optimal method was determined. Also, the future sediment level was predicted by each method for the future trend analysis of sediment level. As the results, the most accurate sediment level was estimated by the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and the future trend of sediment level variation followed the past trend. Therefore, we have found that the empirical area reduction method is a proper one for more accurate estimation of sediment level and it can be validated by the results from a numerical model of SED-2D linked with RMA-2 model.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댐 저수지의 퇴사위 결정 방법
  2.1 RMA-2 & SED-2D 모형
  2.2 수평퇴사법
  2.3 경험적면적감소법
  2.4 면적증분법
 3. 퇴사위 결정 방법별 분석 및 비교
  3.1 대상댐의 선정
  3.2 퇴사위 결정 방법별 분석
  3.3 퇴사위 산정 방법별 결과 및 실측값과의 비교
 4. 산정 방법에 따른 현재 및 미래 퇴사위 예측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Joo, Hong Ju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주홍준
  • Kim, Hung Soo(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Inha University) | 김형수 Corresponding Author
  • Cho, Woon ki(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Hongik University) | 조운기
  • Kwak Jae won(Forecast & Control Division, Nakdong River Flood Control Office) | 곽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