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pplication of Flood Vulnerability Index for analyzing safety change of levee according to climate change KCI 등재

기후변화에 따른 제방의 안전성 영향 분석을 위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의 적용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98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하천 제방에 대한 홍수취약성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기후변화에 따라 달라지는 하천의 수위변화를 고려하여 제방의 취약성 변화 정도를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대상유역의 홍수량을 산정하여 홍수위를 구하고 제방의 2차원 지하수침투 모형인 SEEP/W를 이용하여 침투거동을 분석함으로써 침투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지역은 한강 본류 서울 구간으로 선정하여 대표 제방을 선정한 후, 대표 제방의 현재 계획홍수위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홍수위를 고려하여 제방의 안전율을 분석하였다. 제방의 취약성 분석에 필요한 인자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제방의 수위변화를 고려한 제방의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본 연구자가 기 개발한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값을 이용하여 제방의 취약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this study, a new technique for evaluating the flood vulnerability of river banks is proposed. For this purpose, flood quantities of the basin were estimated based on th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the infiltration stability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infiltration behavior using SEEP/W which is a 2D groundwater infiltration model of the levee. The size of the river levee was investigated. The size of river levee was investigated by selecting the target area. The safety factor of the levee was analyzed considering the current flood level of the levee and the flood level considering the climate change. The factor needed to analyze the levee vulnerability was derived. We analyzed the vulnerability of the levee considering the change of the levee level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were us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the levee.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방법
  2.1 기후변화 시나리오
  2.2 대상유역의 안전성 평가
  2.3 하천제방에 대한 제방홍수위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3. 대상유역 제방의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변화 분석
  3.1 대상유역과 대표 제방
  3.2 대상유역 제방의 안전율 분석
  3.3 제방홍수취약성지수(Levee Flood Vulnerability Index, LFVI) 인자 도출
  3.4 취약성 분석 기술 적용 검토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Lee, Hoo Sang(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이후상
  • Lee, Jae Joo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이재준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