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ssessment of water resources by the construction of subsurface dam KCI 등재

지하댐 설치에 의한 수자원 개발량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9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는 지하댐에 의한 수자원 개발량을 평가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연구 대상지역으로 선택한 쌍천 지하댐은 동해안 쌍천유역 하구에 위치 하며 비피압 충적 대수층을 형성하고 있다. 동해안에는 지형적으로 유사한 지하댐 후보지가 여러 개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층의 지하수위를 평면 2차원 FDM 모형으로 산출하였으며, 여기서 유역 유출은 대수층 표면에 침투항으로서 입력된다. 3개의 유역 유출모형의 평균으로서, 기저유량은 0.5 m3/sec로 산출되었다. 그리고 이 기저유량 근처의 유입량을 갈수기 유입으로 간주하여, 유입량 및 양수량 변화에 따른 지하수위를 산출 하는 방법으로 수자원 개발량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속초시 생활용수를 공급하고 있는 실제 양수량(28,000 m3/day)을 적용하여, 우물 수위가 대수층 바닥에 도달하거나 지하수위가 대수층 표면을 상회하여 지표수 흐름이 발생하는 유입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수자원 개발량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우물의 양수량을 증가시키거나 추가 우물을 설치하는 상황을 재현하고, 극심한 갈수기에 가능한 양수량을 산출하였다.

This study shows the assessment methodology for the water resources of subsurface dams. The study area is SSangcheon subsurface dam. It is at the estuary of SSangcheon watershed forming the unconfined alluvial aquifer. there are several candidate area which are geologically similar to it at East coast. The groundwater level was computed by a 2-D FDM model, where the watershed discharge is the input as the infiltration term. The baseflow computed as the mean value of 3 watershed dischrge model is 0.5 m3/sec. And considering the inflow near the baseflow as the dry season inflow, The groundwater level according to the change of inflow and pumping rate was computed. Specifically, Using the real pumping rate 28000 m3/day which is equal to the supply amount of drinking water to Sokcho city, The inflow which induce the descended groundwater level to the bottom of aquifer or the ascended groundwater level that cause the surface flow was eatimated. The simulation for increased pumping rate and additional well construction to increase the water resources, was executed. And at the extreme dry season, available pumping rate was estimated.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동향
 2. 연구 대상 지역
 3. 수자원 개발량(분석 및 평가)
  3.1 지표수 유출
  3.2 모형의 설계(충적 대수층)
  3.3 경계조건
  3.4 유입량 변화에 따른 지하수위 산출
  3.5 개발 가능량의 추정
   3.5.1 Case I (Inflow = 0.4 m3/sec; Increased pumping rate)
   3.5.2 Case II (Inflow = 0.4 m3/sec; Additional pumping)
   3.5.3 Case III (Inflow = 0.2 m3/sec; Variation of pumping rate)
 4. 요약 및 결론
 References
저자
  • Kim, Sang Jun(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Gachon University, 가천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상준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