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TOPSIS (Techniques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를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의 21개 시 ․ 군을 대상으로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을 평가하였다. 낙동강 유역 21개 시 ․ 군을 대상으로 자연, 인문, 사회적 자료를 수집하여 10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를 스케일 재조정법을 이용하여 표준화 하고, 전문가 집단의 설문을 반영하여 각 지표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가중치 산정 설문 결과 연평균 지하수 위 지표가 0.157으로 가장 큰 가중치를 받았으며, 연평균 강수량 지표가 0.154, 연도별 지하수함양량 지표가 0.152로 얻어졌다. 가장 적은 가중치를 얻은 지표는 인구 밀도로 0.043 의 가중치를 얻었다. 최종적으로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 결과, 상주가 연평균 강수량, 연평균 지하수 함양 량, 연평균 지하수 이용량 지표에서 높은 순위의 취약성을 보여 낙동강 유역 21개 시 ․ 군 단위 행정구역 중 가장 취약한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그 뒤로 예천군, 함안군의 순으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향후 한국의 5대강 유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평가는 전국 지하수위 관리 정책 수립에 필수적이라고 판단된다.
Ground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was assessed using TOPSIS (Techniques for Order Performa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for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akdong river basin. Ten indicators were selected for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the Nakdong river basin by collecting natural, human, and social data sets. The selected indicators were standardized using rescale method, and each indicator was weighted by considering the questionnaire of expert group. The results of the weights determination survey showed that the annual average groundwater level index was 0.157 and this is the highest value. Th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index was 0.154 and the annual groundwater recharge index was 0.152. The lowest weighted index was 0.043 for population density. Finally, the result of assess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showed that Sangju-si was the most vulnerable to groundwater management among 21 administrative districts in Nakdong river basin because the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annual average groundwater recharge, and annual average groundwater use indicators were highly vulnerable. The second and the third vulnerable regions were Yecheon-gun and Haman-gun respectively.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vulnerability for the five major river basins in Korea can be a essenti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of groundwater management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