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ssessment of merging weather radar precipitation data and ground precipitation data according to various interpolation method KCI 등재

보간법에 따른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와 지상 강수자료의 합성기법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9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최근 국지성 집중호우 및 급격한 기상변화로 인해 돌발홍수와 같은 기상재해의 발생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고해상도의 기상레이더 강수자료를 사용한 수공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상레이더 강수자료를 활용하는 목적은 기상레이더 강수자료가 제공하는 공간분포를 최대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의 공간적 특성을 유지하면서 지상 강수자료의 양적특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부 합성기법을 보간법에 따라 분석 하였다. 기상레이더 강수자료와 지상 강수자료를 조건부 합성하기 위하여 Kriging, 역거리 가중법 및 Spline 보간법을 적용하였다. 조건부 합성결과는 지상 강수패턴을 현실성 있게 재현하였으며 추가적으로 보간법에 적용되지 않은 강수자료와 모형검증을 수행한 결과 조건부 합성을 통하여 생산된 공간적 강수정보의 수문학적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increased frequency of meteorological disasters has been observed due to increased extreme events such as heavy rainfalls and flash floods. Numerous studies using high-resolution weather radar rainfall data have been carried out on the hydrological effects. In this study, a conditional merging technique is employed, which makes use of geostatistical methods to extract the optimal information from the observed data. In this context, three different techniques such as kriging, inverse distance weighting and spline interpolation methods are applied to conditionally merge radar and ground rainfall data. The results show that the estimated rainfall not only reproduce the spatial pattern of sub-hourly rainfall with a relatively small error, but also provide reliable temporal estimates of radar rainfall. The proposed modeling framework provides feasibility of using conditionally merged rainfall estimation at high spatio-temporal resolution in ungauged area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연구방법
  2.1 강수자료의 공간보간 및 합성
 3. 분석자료 및 연구결과
  3.1 면봉산 기상레이더 강수자료 및 지상 강수자료
  3.2 강수자료 조건부 합성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Kim, Tae-Jeong(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태정
  • Lee, Dong-Ryul(Water Resources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 하천 연구소) | 이동률
  • Kwon, Hyun-Ha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전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권현한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