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valuation of water supply capacity using groundwater abstraction contributing to streamflow KCI 등재

하천유량에 기여하는 지하수 양수량의 물공급 능력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899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무심천 유역을 대상으로 지표수-지하수 통합해석 모형인 SWAT-MODFLOW를 이용하여 수량이 부족한 하천으로 지하수를 이용한 물공급 방안을 모색하였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다양한 모의실험을 수행한 결과 극한가뭄이 도래했던 2015년에 지하수 공급에 의한 월 유출량의 변화는 현 양수시 23%, 최대 양수시에는 68.3%의 증가를 나타냈다. 이를 연간 지하수 함양량으로 산정할 경우 현 이용량을 적용하면 연평균 강수량의 6.2%인 75 mm, 최대 이용량 적용시 연평균 강수량의 24%인 290 mm에 해당하여 연간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 났다. 본 연구는 가뭄에 취약한 지표수자원과 달리 지하수는 하천수 부족시 물공급의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the present study, an integrated SWAT-MODFLOW model was implemented to analyze the method of supplying groundwater abstraction contributing to Musimcheon stream. Various simulations of supply of groundwater to streamflow with current and maximum groundwater abstraction have been explored for 5 years (2011-2015). In 2015, when the severe drought happened, the monthly discharge change rate due to groundwater supply was ranged from 23% in current abstraction to 68% in maximum abstraction. In terms of annual groundwater recharge, these quantities could be applicable recharges ranged from 75 mm (6.2% of annual mean precipitation) to 290 mm (24% of annual mean precipitation) which could be stable annual supply. Since surface water is vulnerable to drought, the water supply using groundwater could be an effective alternative for stream deficiency.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SWAT-MODFLOW 모형의 구축
 3. 지하수에 의한 하천으로의 물공급의 정량적 분석
 4. 연간 지하수 함양량과의 비교
 5. 결론 및 추후과제
 감사의 글
 References
저자
  • Chung, Il-Moon(Hydrolog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정일문 Corresponding Author
  • Kim, Nam Won(Hydrolog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김남원
  • Lee, Jeongwoo(Hydrolog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이정우
  • Chang, Sun Woo(Hydrological Sciences and Engineering Departmen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소) | 장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