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아의 정서지능간의 관계 : 어머니의 양육행동 매개효과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958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영유아보육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And Education)
초록

본 연구는 영아와 대상 영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여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을 통해 영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 나아가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아의 정서 지능 간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효과를 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의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영아와 대상 영아의 어머니 211명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 간의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 모형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 간에 유의미한 경로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이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 간접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안녕감과 영아의 정서지능 사이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매개효과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를 통하여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안녕감과 같은 변인에 대한 중요성과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여 부모 교육에 이론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And analyzed whether the mothers parenting behaviors mediate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In this study, 211 mothers of infants and infants who are financially dependent on day care centers in Seoul participated. First,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model to analyze the pathways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ing behaviors, and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at there was a meaningful pathway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parenting behavior, and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 Second, the effects of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on parenting behaviors and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were examined and indirect effects were examined. As a resul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were mediated between mother’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infant emotional intelligence. It is expected that the theoretical basis for parental education will be provided by providing new perspectives and importance to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wellbeing which has a positive effe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목차
Ⅰ.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연구절차
  2. 연구도구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측정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및 기술 통계치
  2.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 어머니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에 대한 측정모형 분석
  3.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 어머니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에 대한 구조모형 분석
  4.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 어머니의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간의 경로분석
  5. 어머니의 심리적안녕감, 어머니의 양육행동, 영아의 정서지능간의 매개효과 검증
 Ⅳ.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윤연희(숙명여자대학교 가족학과 박사) | Yoon, Yeonhee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Family Studies, Doctoral student) Corresponding Author
  • 심숙영(숙명여자대학교 영유아교육학과 정교수) | Shim, Sookyoung (Sookmyung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ull Profess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