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기 부모의 코칭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연구

The Development of a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with Young Childr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9588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한국영유아보육교육학회 (The Korea Association Of Child And Education)
초록

연구는 인성의 부재로 인한 학교폭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부모의 인성교육이 시급함을 인식하고, 유아기 부모를 대상으로 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C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의 유아기 부모 164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과 요구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회수하여 프로그램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인성교육 프로그램은 코칭프로그램(ACTIVE코칭 대화모델)을 활용하여 인성교육내용을 다루며 핵심내 용은 감성, 도덕성, 사회성을 포함하였다. 소집단형태로 각 회기별 2시간씩 총 6회기로 부모인성코칭을 통해 부모로서 바로서고 인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인성코치사로서 부모역할을 설정하도록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족한 부모인성교육프로그램을 보급하고, 부모들이 요구하는 인성교육의 접근기회가 부족한 상황에서 인성코칭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적인 부모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돕는다. 둘째, 부모인성코칭 프로그램은 코칭의 과정을 접목하여 효과적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도우며, 인성코치로서의 부모의 자신감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모자녀관계에 긍정적 목표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코칭의 프로세스를 익힘으로써 부모의 역량을 키울 수 있다.

This study is to develop a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for parent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4 parents of day care centers in C city.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consist of questions about recognitions and needs of such programs. The personality coaching program uses coaching program (ACTIVE coaching conversation model) in terms of personality education. The essence of the program are sensibility, morality, and sociality. This program is made up of 6 two-hour sessions in small groups, and designed to set up the role of parents as personality coaches by understanding what the personality i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supplies the parents’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and helps them to perform positive roles of parents. Second, it enables the parents to be confident of themselves. Third, the parents can develop parent competency since this program helps them to learn coaching process which improv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목차
Ⅰ. 서론
 Ⅱ. 유아기 자녀의 부모를 위한 인성코칭 프로그램 개발과정
  1. 부모인성코칭 프로그램 개발 절차
  2. 유아의 인성발달을 위한 관련 문헌고찰
  3. 인성발달을 위한 부모인성코칭에 대한 부모 인식 및 요구도 조사
 Ⅲ. 유아 부모를 위한 인성코칭 프로그램 시안
  1. 목적과 목표
  2. 프로그램의 구성내용
  3. 교수방법
  4. 평가
 Ⅳ. 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저자
  • 조경희(충청대학교 아동보육과 교수) | Cho, Kyung-Hee (Professor. Dept. of Child Care, ChungCho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