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urvey on the Perception of National Board Examination based on Smart System in Korean Optician National Board Examination KCI 등재

스마트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조사; 한국 안경사 국가시험을 중심으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051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안경광학과 전공 학생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스마트 기반 국가시험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광학 전공 학생, 교수, 임상전문가(안경사)로 구성된 171명을 대상으로 지필평가방식과 스마트 기반 멀티미디어 문항이 포함된 평가방식(SBT)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안경관련 전문가 집단의 SBT에 대한 인식은 다른 보건의료직종의 전문가 집단보다 낮은 것으로 나 타났지만, 안경사국가시험에서 지필평가와 SBT 평가 두 시험 체제는 차이가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44.4%, SBT 평가체제가 더 좋다는 의견이 37.4%로 지필평가(31.0%) 보다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 기반 시험의 가장 긍정적인 측면은 시험에 소요되는 시간 단축을 최대 장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멀티미디어 문항의 긍정적인 측면은 임상현장에서의 수행능력을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집단의 경우 응시자의 임상수행능력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졸업 후 임상현장에서 업무를 수행 하는 과정에 도움이 된다, 수행평가가 용이하다는 점에서 임상전문가보다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였다.
결론: 지필시험에서 사용하고 있는 선택형 시험문항은 문제해결능력보다는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관련 지식을 기억하거나 이해하고 있는지를 주로 평가하고 있어, 해당 직무의 실제성 또는 현실성을 반영하는 시험이 되기 위해서는 본 연구결과를 반영한 SBT 체제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위한 타당성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Purpose : To study the awareness of the Smart Based Test (SBT) on the national board examination from professors, opticians and students in optometry (ophthalmic optics).
Methods : We conducted a questionnaires survey for 171 people including professor, opticians and optometry students on the awareness with assessment of the written and the SBT consisting of multimedia questions.
Results : The perception of the SBT in the optometry group was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f the other health care professionals. However, 44.4% of the those responded that the paper-based test and the SBT will not be different, and 37.4 % of the those questioned and said that the SBT system will be better and 31.4 %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paper-based test will be better in Optician National Board Examination. The most positive aspects of smart system for examination have been found to be the best benefit to reduce the time required, and the positive aspects of multimedia questions have been effectively evaluated for their ability to perform in clinical fields. In addition, clinical experts were more likely to recognize that the ability of a candidate's clinical performance is more accurately assessed, and that it would help to perform the task on the clinics after graduation, and also that it was easier to conduct the assessment.
Conclusion : The questions on optional test used in written tests are mainly shown a reflection of the knowledge required to perform a task rather than the ability to solve a problem.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need for a transition to the SBT system reflected by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o ensure that a study for feasibility is conducted continuously.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및 고찰
  1. 대상자 특성
  2. 설문지 신뢰도 결과
  3. SBT에 대한 인식
  4. 멀티미디어 문항에 대한 인식
 Ⅳ. 결 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Jung Un Jang(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 장정운
  • Soon-Kyu Yoou(Dept. of Emergency Medical Care, Eulji University) | 유순규
  • Eun Joo Kim(Faculty of Liberal Arts, Eulji University) | 김은주 Corresponding author
  • Koon-Ja Lee(Dept. of Optometry, Eulji University) | 이군자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