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비가림 시설재배에서 인공수분, 수분시기 및 화분증량제가 참다래의 종자형성과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Artificial Pollination, Pollination Time, and Pollen Bulking Agent on Seed Formation and Fruit Quality in the Shelter Greenhouse Cultivation of Kiwifru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569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참다래 비가림 시설재배에서 인공수분이 착과 및 과실품질에 미치는 영향과 안정적인 착과를 위한 유효수분기간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또한 최근 참다래 재배농가들에서 많이 수행되고 있는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공수분은 비가림 시설재배에서뿐 아니라 노지재배에서도 참다래의 착과량이 개선되었으며 중량증가와 당도향상의 과실품질 개선효과가 확인되었다. 유효수분기간 확인을 위하여 만 개 후부터 매일 7일간 인공수분이 수행되었다. 과실의 착과율, 과실당 종자수, 그리고 과실생장량은 만개 후 4 일까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만개 후 5일부터는 분명하게 감소하였다. 결과적으로 참다래 비가림 시설재 배에서 유효수분기간은 만개 후 4일 이내로 나타났다. 또한,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은 석송자를 이용한 것과 착과량과 과실품질의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화분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은 참다래 재배에서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수분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artificial pollination on fruit set, seed formation and fruit quality in kiwifruit and to confirm the effective pollination time for optimal fruit set in the shelter greenhouse cultivation. Also, the effect of artificial pollination practice by the pollen diluent solution was tested. By artificial pollination, fruit set, seed formation, and fruit quality was improved both in the open field condition and in the shelter greenhouse cultivation.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 pollination period (EPP), artificial pollination was carried out every day until 7 days after full bloom. Number of seeds and fruit set rate and fruit growth of kiwifruit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t until 4 days after full bloom (DAFB), but, those of kiwifruit from 5 DAFB significantly decreased. Consequently, the effective pollination period of kiwifruit in the shelter greenhouse was 4 days after full bloom. Also, artificial pollination by the pollen diluent solution was showed the similar fruit set and fruit quality compare to that by lycopodium powder. Accordingly, artificial pollination by the pollen diluent solution should be very effective practice for labor saving in kiwifruit cultivation.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시험재료
  인공수분용 화분채취 및 수분
  인공수분 효과
  유효수분기간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
  과실특성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참다래 시설재배에서 인공수분이 착과 및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참다래 시설재배에서의 유효수분기간
  참다래 화분 현탁액을 이용한 인공수분
 적 요
 사 사
 인용문헌
저자
  • 임경호(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Pear Research Station,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Jeollanam-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Kyeong-Ho Lim
  • 김월수(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원예학과,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Department of Horticultu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Wol-Soo Kim
  • 이상현(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Institute of Agriculture Science and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Sang-Hyun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