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학습 발달과정 탐색을 통한 계절의 변화 교육과정 및 교수 계열 제안 KCI 등재

A Proposal of Curriculum and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 by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16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구과학회지 (Th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한국지구과학회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학습 발달과정을 탐색을 통해 계절의 변화에 대한 교육과정과 교수 계열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습 발달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Wilson (2005)이 제안한 ‘구인 모델링 방식’의 4가지 단계(구인특화, 평가 문항 개발, 평가 결과 기술, 측정 모델)를 적용하였다. 구인특화 단계에서는 계절의 변화의 하부 구인으로 ‘계절에 따른 그림자의 길이’, ‘계절에 따른 별자리의 위치’, ‘남반구와 북반구의 계절’, ‘계절에 따른 태양의 일주운동’, ‘계절의 원인과 현상‘을 설정하였으며,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 하부 구인의 하위 정착점인 수준 1에서 상위 정착점인 수준 4까지를 나타낸 구인구성도를 작성하였다. 평가 문항 개발 단계에서는 구인구성도를 토대로 C-E (choose and explain) 형태의 문항 3개, CR (constructed response) 형태의 문항 2개로 구성된 총 5개의 평가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초, 중, 고등학교 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평가 결과 기술 단계에서는 평가 문항에 대한 학생 응답 결과를 구인구성도를 토 대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 범주들을 학생 능력에 따라 4수준으로 분류하고 1-4점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측정 모델 단계에서는 Rasch 모델의 부분점수 모형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응답 결과를 통해 작성한 학습 발달의 경로가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작성한 구인구성도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였다. 이를 통해 구인구성도를 수정함으로써 최종적으로 계절의 변화에 대한 가설적인 학습 발달과정을 작성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계절 변화에 대한 교육 과정 개정 방향과 효과적인 교수 계열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curriculum and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 by explor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the purpose, 4 steps of construct modeling approach (specifying construct, item design, outcome space, and measurement model) proposed by Wilson (2005) was applied. In the stage of specifying construct, ‘length of shadow according to seasons’, ‘position of constellation according to seasons’, ‘seasons of the southern hemisphere and northern hemisphere’, ‘cause and phenomenon of seasonal change’ were selected as the subconstructs of seasonal changes, and constructed a construct map showing the level of development from level 1 to level 4 for each subconstru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research. In the item design stage, we developed five assessment items consisting of 3 items in the form of C-E (choose and explain) and two items in the form of CR (constructed response), applied it to 383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outcome space stage, the students’ responses to the assessment item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construct map. The categories were classified into 4 levels according to student ability and scores of 1-4 were given. In the measurement model stage, we applied the partial credit model of the Rasch model and compared whether the learning pathway created from the results of students’ response coincides with the construct map.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 modified the construct map and finally created hypothetical learning progression on seasonal change. Finally, we proposed an orientation of curriculum amendment and effective teaching sequence for seasonal change.

목차
Abstract
 요 약
 서 론
 연구 방법 및 내용
  구인 특화
  문항 개발
  평가 결과 기술
  측정 모델 적용
 연구 결과 및 논의
  평가 결과 기술
 Rasch 모델 적용 결과
  Item fit 산출
  구인구성도 수정 및 가설적 학습 발달과정 작성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
  • 허재완(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Jaewan Heo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이기영(강원대학교 과학교육학부) | Kiyoung Lee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