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완전제어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배양액, 광도 및 재식거리에 따른 Common Ice Plant의 생육 특성 KCI 등재

Growth Characteristics of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on Nutrient Solution,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istance in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4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인공광 이용형 식물공장에서 common ice plant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에 대한 적합한 배양액 조성, 배양액 산도, 급액 간격, 광도 및 재식거리를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식물공장 유형은 완전제어형 식물공장형태로 인공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였으며, 광주기는 12시간 일장주기였다. 수경재배시스템은 3단으로 구성된 박막수경시스템이었다. 식물공장내 온도, 상대습도와 이산화탄소 농도는 ON/OFF 제어하였다. 배양액은 일본원예시험장액과 식물체 분석으로 개발 배양액을 가지고 비교 실험 하였다. 배양액의 산도와 급액 간격 실험은 pH 6.0과 7.0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으로 순환할 경우 생육 차이를 알아보았다. 광도는 90과 180μmol·m-2·s-1 2처리 하였다. 재식거리는 열간 간격을 15cm로 고정한 후, 열내 간격 10cm, 15cm, 20cm와 25cm 4처리로 처리하였다. 적당한 배양액의 조성은 N 7.65, P 0.65, K 4.0, Ca 1.6과 Mg 1.0mM·L-1이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pH 6과 7 그리고 5분 간격과 10분 간격 처리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은 광도 180μmol·m-2·s-1에서 높았다. 재식 거리가 증가할수록, 단위면적당 생체중과 건물중은 감소 하는 경향을 보였다.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common ice plant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관리(조성, pH와 급액간격) 와 재배관리(광도와 재식밀도)를 알아본 결과, 생육에 적합한 배양액 조성으로 pH 6.0-7.0로, 급액 10분 간격 으로 공급해 주는 것이 좋으며, 광도 180μmol·m-2·s-1와 재식밀도 15×15cm로 재배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 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um nutrient solution, pH, irrigation interval,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ensity to growth of common ice plant (Mesembryanthemum crystallinum L.)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Three-band radiation type fluorescent lamps with a 12-h photoperiod were used. Nutrient film technique systems with three layers were used for the plant growth system.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CO2 concentration were controlled by an ON/OFF operation. Treatments were comparison of the nutrient solution of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in Japan (NHES) and the nutrient solution of Jeju National University (NJNU), pH 6.0 and 7.0, irrigation interval 5 min and 10 min, light intensity 90 and 180 μmol ·m-2 · s-1, and within-row spacing 10 cm, 15 cm, 20 cm and 25 cm with between-row spacing 15 cm. Optimum macronutrients were composed N 7.65, P 0.65, K 4.0, Ca 1.6 and Mg 1.0 mM · L-1.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pH 6.0 and 7.0 about shoot fresh weight and shoot dry weight of common ice plant. Irrigation interval 5 min and 10 min was also the same result. Shoot fresh weight and shoot dry weight were highest at 180 μmol ·m-2 · s-1. Shoot fresh weight and shoot dry weight were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the planting density.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d that optimum nutrient solution, optimum levels of pH, irrigation interval, light intensity and planting density were 6.0-7.0 and 10 min, 180 μmol · m-2 · s-1 and 15×15 cm, respectively for growth of common ice plant in a closed-type plant production system.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차미경(제주대학교 식물자원환경전공, Major in Plant Resources and Environment, Jeju National University) | Mi-Kyung Cha
  • 박경섭(국립원예특작과학원 시설원예연구소, Protected Horticultur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 Kyoung Sub Park
  • 조영열(제주대학교 아열대농업생명과학연구소, 제주대학교 친환경농업연구소, 제주대학교 원예환경전공, Research Institute for Subtropical Agriculture and Animal Biotechnology, Jeju National Univ., Sustainable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Jeju National Univ., Major in Horticultural Science, Jeju National Univ) | Young-Yeol Cho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