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LED 광원과 광도에 따른 참외의 묘소질 및 정식 후 생육 변화 KCI 등재

Effect of Seedling Quality and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Korean Melon Nursed under LED light Sources and Intens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25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참외 육묘 시설 내에서 우수한 품질의 모종을 생산하기 위한 LED 광원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접목 활착 후 20일 동안 광원과 광도를 달리하여 묘소질과 정식 후 생육을 비교하였다. 광원은 청색광(B), 적청색 혼합광원(RB3, RB7)을 이용하였고, 광도(PPFD)는 50, 100, 200μmol·m-2·s-1로 처리하였다. 조명시간은 일출 (7:30) 전 2시간과 일몰(17:30) 후 2시간씩 하루에 총 4 시간을 처리하는 일장연장법을 이용하였다. 참외 지상부 의 생장지표인 접수 길이와 줄기직경은 청색광의 비율이 높을수록 길어지고 굵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적청색 혼합광원(RB3)이 다른 광원들에 비해 건물률과 조직의 충실도가 높은 경향이었다. 광합성률은 적색광의 비율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RB7 200μmol·m-2·s-1처리구에서 5.44μmolCO2·m-2·s-1로 가장 높았다. 정식 후 RB3 200μmol·m-2·s-1 처리구의 초장이 132.3cm로 가장 길었고, 마디수가 22.7개로 가장 많았으며 개화율도 75%로 가장 높았다. 청색광(B) 단독으로 처리한 것보다는 적청색 혼합광원(RB3)으로 처리한 것이 묘소질을 양호하게 하였고, 광도를 200μmol·m-2·s-1로 높이는 것이 우량묘 생산에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seedling quality of korean melon and the growth after transplanting of korean melon nursed under the LED sources. LED sources were RB7 (Red:Blue=14:2), RB3 (Red:Blue=12:4) and Blue(B=16).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PPFD) was 50, 100 and 200μmol·m-2·s-1. The lighting treatment was started after graft-taken and was applied for 20 days at 4 hours(05:30 and 07:30, 17:30 and 19:30) per day. Plant height and stem diameter of scion were longer and thicker under a high ratio of blue light condition. Dry matter ratio and compactness were highest in RB3 compared to the other LED sources treatments. CO2 exchange rate increased 5.44μmolCO2·m-2·s-1 under RB7 200μmol·m-2·s-1 and dropped to negative values under control. PPFD 200μmol·m-2·s-1 of RB3 resulted in the longest plant height by 132.3cm and flowering ratio also was the highest by 75%.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재배환경
  2. 인공광원과 광처리
  3. 생육조사
  4. 엽록소 함량 분석
  5. 광합성률 측정
  6.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이지은(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 Seongju Korean Melon Fruit Vegetable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Ji Eun Lee
  • 신용습(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 Seongju Korean Melon Fruit Vegetable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Yong Seub Shin
  • 도한우(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 Seongju Korean Melon Fruit Vegetable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Han Woo Do
  • 정종도(경상북도농업기술원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 Seongju Korean Melon Fruit Vegetable Research Institute, Gyeongsangbuk-do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 Jong Do Cheung
  • 강영화(경북대학교 원예과학과, Deparment of Horticultural scienc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Young Hwa Ka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