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실험은 벼 육묘장의 연중 활용을 위해 다단 재배상에서 벼 육묘판을 이용한 어린잎 채소의 적정 수확시기를 구명하고자 다단재배에서 단 위치 및 재배 일수가 생육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공시 작물은 배초향(Agastsche rugosa O.)과 큰다닥냉이 (Lepidium sativum L.)를 사용하였고, 코코넛코이어로 충진한 벼 육묘판에 각각의 작물을 10일 육묘한 어린잎 채소를 6단 재배상(120×45×180cm)의 1층 저단(지면으로 부터 20cm)과 6층의 고단(지면으로부터 170cm)에 배치하였다. 공급액은 EC 1.5 dS·m-1의 배양액과 지하수를 하루간격으로 번갈아 각각 격일로 공급하였고, 하루 3회, 회당 200~400ml/tray씩 두상관수하였다. 7일 또는 14일 간 재배하여 수확한 후 생육 및 항산화 함량을 분석하였다. 저단처리와 고단처리에서의 재배 기간 중 일평균 누적광량 및 온도는 5.1~6.2MJ·m-2, 26.5~26.6oC과 9.3~9.6MJ·m-2, 27.5oC로 계측되었다. 배초향의 생육(초장, 엽장, 엽폭, 엽수, 생체중)은 저단에서 14일 재배되었을 때 높았고, 고단에서 재배된 배초향의 초장은 짧고, 엽 수가 감소하였다. 큰다닥냉이의 초장, 엽폭, 엽수, 생체 중은 저단에서 14일 재배되었을 때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졌을 때 엽장, 엽폭, 엽수는 차이가 없었다. 배초향의 수량은 적산온도와 누적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큰다닥냉이의 수량은 적산 온도 증가시 증가한 반면, 누적광량에서는 감소하여 작물간 누적광량에 따른 수량에 차이를 보였다. 배초향의 폴리페놀 및 안토시아닌 함량은 고단에서 높았으며, 재배일수가 길어졌을 때 폴리페놀, 안토시아닌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증가하였다. 큰다닥냉이의 폴리페놀 함량은 고단 처리에서 높았고, 안토시아닌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다단 위치와 재배일수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한편 두 작물의 총엽록소 함량은 저단에서 7일 재배하였을 때 가장 높았다. 따라서 고온기 다단 재배 시 생육과 품질을 고려한 어린잎 채소 재배시 육묘 후 배초향은 고단에서 14일, 큰다닥냉이는 저단에서 7일 재배하여 수확하는 것이 좋으리라 판단한다.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suitable of harvest time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baby leafy vegetables (Agastsche rugosa O. Kuntze and Lepidium sativum L.) grown on rice seedling tray in a six-layered bench system at 30cm intervals in order to exploit the space during rice growing off-season. Seedlings were grown on the rice seedling tray for 10 days after sowing with coir substrate supplied with nutrient solution at EC 1.5 dS·m-1 every 2 days prior to placing the tray on the bench, which were at 1st (Low) layer above 20cm and 6th (High) layer above 170cm apart from the ground. Growth and phytochemical contents were measured at 7-day and 14-day harvest time. During the culture periods, daily average of integrated solar radiation and temperature were 9.3~9.6 MJ·m-2, 27.5oC in the High layer and 5.1~6.2 MJ·m-2 in average, and 26.5~26.6oC in the Low layer, respectively. For A. rugosa, the highest growth was observed in the Low layer bench at a 14-day harvest time, while their plant height in the High layer was shorter and the leaf number was lower. For L. sativum, the plant height, leaf length and width, leaf number and fresh weight were higher in the Low layer. For A. rugosa, a high yield was observed with the increase in integrated temperature and integrated solar radiation, while a higher yield of L. sativum was found with the increase in integrated temperature, but not with integrated solar radiation. For A. rugosa, both polyphenol and anthocyanin contents were higher in the High layer at a 14-day harvest time. For L. sativum, polyphenol contents were higher in the High layer, where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hocyanin and flavonoid contents was observed depending on the layer and harvest time. The highest chlorophyll content showed in Low layer at a 7-day harvest time in both A. rugose and L. sativum. All of the results suggest that in terms of growth and quality, it may be better growing in the high layer for 14 days after seedling in A. rugosa, and low layer for 7 days in L. sativ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