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딸기재배 온실의 현장조사 분석 -서부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KCI 등재

Field Survey of Greenhouse for Strawberry Culture -Case Study Based on Western Gyeongnam A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395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에서는 딸기의 생육 및 환경관련 데이터를 활용하여 딸기 재배 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을 위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생산성 향상에 대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서부 경남 지역 중 딸기 재배로 유명한 지역의 온실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경상대학교 내에 딸기 재배용 테스트 베드 온실을 설치하여 연구를 실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재배농가의 연령대를 보면, 상대적으로 50대 및 60대가 가장 많았지만, 50대 이하가 27개 농가로서 전체의 약 67.5%정도이었고, 60대 이상은 32.5%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재배경력의 경우, 10년 이하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30년 이상인 경우도 있었다. 대상농가 모두가 단동온실로서 대부분이 아치 형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액재배 농가가 약 75%정도로 토경재배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양액재배의 경우, 전체 농가가 고설재배를 하고 있었다. 단동온실의 폭, 측고 및 동고는 조사지역에 관계없이 각각 7.5~8.5m, 1.3~1.8m 및 2.5~3.5m정도 이었다. 서까래 간격도 0.7~0.8m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설재배의 경우, 고설재배 베드의 폭, 높이 및 간격은 각각 0.25m전후, 1.2m전후 및 1.0m전후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딸기 품종의 경우, 국산이 약 97.5%를 차지하고 있었고, 이 중 설향이 약 65.0%로서 가장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온실 내부 환경 요인으로 38개 농가가 온도와 상대습도만 계측하였다. 2개 농가는 최근에 국산 제품인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도 있었다. 양액재배의 경우는 양액제어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관비기를 사용하거나 환기 및 유동 팬을 사용하고 있는 농가도 있었다. 온습도 조절은 스마트 팜 시스템을 도입한 농가를 제외하고 약 85%인 34개 농가에서 측창이나 환기팬을 작동시키는 제어패널만을 이용하여 조절하였고, 수동으로 측창을 개폐하고 있는 농가도 10%정도인 4개 농가가 있었다. 보온 및 난방의 경우, 전체 대상 농가가 수막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 외에 필요에 따라 기름 및 전기보일러, 방열 램프 및 부직포 등을 병행하여 이용하는 농가도 다수 있었다.

This study set out to select a system to realize an optimal environment for strawberry cultivation greenhouses based on data abou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rawberry and its environment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search of its improved productivity. For these purposes,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field survey with greenhouses for strawberry cultivation in western Gyeongnam. The findings show that farmers in their fifties and sixties accounted for the biggest part in the age groups of strawberry farmers. While those who were under 50 were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7.5%, those who were 60 or older accounted for 32.5%. As for cultivation experiences, the majority of the farmers had ten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less with some having 30 years of cultivation experiences or more. All the farmers built an arch type single span greenhouse. Those who used nutrient solutions were about 75.0%, being more than those who used soil. All of the farmers that used a nutrient solution adopted an elevated hydroponic system. The single span greenhouses were in the range of 7.5~8.5m, 1.3~1.8m and 2.5~3.5m for width, eaves, and ridge height, respectively, regardless of survey areas. The rafters interval was about 0.7~0.8m. In elevated hydroponic cultivation, the width, height, and interval of the beds were about 0.25m, 1.2m and 1.0m, respectively. As for the strawberry varieties, the domestic one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97.5% with Seolhyang being the most favorite one at about 65.0%. As for the internal environment factors of greenhouses, 38 farmers measured only temperature and relatively humidity. As for hydroponics, the farmers used a hydroponics control system. Except for the farmers that introduced a smart farm system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pproximately 85.0% controlled temperature and humidity only with a control panel for side windows and ventilation fans. As for heating and heat insulation, all of the farmers were using water curtains with many farmers using an oil or electric boiler, radiating lamp or non-woven fabric, as well, when necessary.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정영균(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ung Kyun Jeong (Dept. of Agricultural Eng.,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NU)) Corresponding author
  • 이종구(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ong Goo Lee (Dept. of Agricultural Eng.,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NU)) Corresponding author
  • 윤성욱(농촌진흥청 농업공학부 에너지환경공학과) | Sung Wook Yun (Dept. of Agricultural Engineering,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김현태(국립원예 특작 과학원 시설원예 연구소) | Hyeon Tae Kim (Dept. of Bio-Industrial Machinery Eng..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윤용철(경상대학교 지역환경기반공학과(농업생명과학연구원)) | Yong Cheol Yoon (Dept. of Agricultural Eng., Gyeongsang National Univ.(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NU))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