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양주 청련사 봉안 불화의 특징과 의미 KCI 등재

Significance and Idiosyncrasies of the Buddhist Paintings at Cheongnyeon-sa Temple in Yangju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45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9,800원
불교문예연구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Studies on Buddhist art and culture)
초록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석현리 개명산(開明山)에 위치하는 청련사(靑蓮寺)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의 대표 사찰이다. 청련사는 원래 서울 성동구 하왕십리동 988번지 종남산(終南山) 무학봉(無學峯) 기슭에 위치해 있었다. 그러다가 근ㆍ현대기 불교 종단의 갈등과 해결책으로 2006년 왕십리에서 양주로 이건(移建) 결정이 이루어졌고 마침내 2010년 6월부터 경기도 양주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청련사에 봉안된 불화는 12건이 현전되고 있다. 현재까지 청련사 불화에 대해서는 학위논문을 비롯한 여러 보고서에 일부 소개된 바 있다. 이 글은 필자가 2017년 청련사 소장 불화를 전수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19세기부터 현재까지에 이르는 청련사의 역사를, 불화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청련사에 소장된 불화는 1866년 <치성광여래도>로부터 1970년대 <팔상도>에 이르기까지 주로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조성된 불화가 주를 이룬다. 그 가운데 가장 이른 연대의 기록을 보이는 <치성광여래도>는 화기에 복장시주(服藏施主)로 두 명의 상궁 이름이 확인된다. 이어 1880년에 조성된 <아미타불회도>, <현왕도>, <감로도> 세 점은 여러 상궁의 후원 속에 조성된 불화로 의미가 있다. 짜임새 있는 구도, 세밀한 필치, 표현 기법 등에서 불화승 축연의 기량을 살필 수 있는 불화로도 주목된다. 이 외에도 민간인들이 시주와 후원 속에 조성된 불화도 봉안되어 있다.
청련사의 역사를 알 수 있는 「청련사지(靑蓮寺誌)」에는 1849년 중창에는 시주를 권면하는 상궁의 이름이 적혀 있다. 이어 5년 뒤에는 왕실의 인척인 홍현주와 영의정을 역임한 권돈인이 불사를 시주를 했다는 기록이 있다. 불화의 조성 기록에서 1880년 조성 불화 이외에 상궁이나 왕실의 인사가 후원 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지만 청련사는 왕실 인척이나 당대의 권력가, 왕실과 관련된 상궁들의 불사(佛事) 후원을 집중적으로 받았으며 불화와 불전(佛殿)의 구조상 왕실의 원당으로서의 특징을 보인다.
청련사 불화는 19세 말~현대에 이르기까지 청련사의 역사를 고증하는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19세기~20세기까지 불화의 도상과 양식적 특징, 후원자와 화승을 총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로 의미가 깊다.

Cheongnyeon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the Gaemyeongsan Mountain in Seokhyeon-ri, Jangheung-myeon, Yangju-si, Gyeonggi-do, is a major Buddhist temple associated with the Taego Order of Korean Buddhism. The temple was originally located in Wangsimni, Seongdong-gu, Seoul; and then in June 2010, it was moved to Yangju, Gyeonggi-do.
Currently, twelve paintings are housed at Cheongnyeon-sa Temple.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of the temple from the 19th century up to the present based on a research conducted by the author with a primary focus on Buddhist paintings.
Most of the Buddhist paintings at Cheongnyeon-sa Temple were produced betwee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The oldest painting according to documents-Chiseonggwangyeoraedo (a painting of Tejaprabha Buddha)-bears a statement that contains the names of two court ladies who supported its production. Three paintings that were produced later in 1880—Amitabulhoedo(Buddhist paintings of the preaching assemblies for Amitābha), Hyeonwangdo(a Yamaraja Painting), Gamnodo(a Nectar Ritual Painting)—are important in that they were made under the patronage of several court ladies. They are noteworthy as they exemplify the skills of a master monk painter named Chukyeon through their structural composition, detailed brushstrokes, and method of expression. Some Buddhist paintings produced under the patronage of civilians are also kept in the temple.
In Cheongnyeonsaji (the journal of Cheongnyeonsa), the name of a court lady is mentioned as its main patron who made a donation to reconstruct the project in 1849. After five years, the names of a royal relative, Hong Hyeongju, and a former prime minister, Gweon Donin, were recorded as patrons of such projects. Records that show royal patronage are rare except for those of some paintings produced in 1880. Nonetheless, Cheongnyeon-sa Temple enjoyed heavy patronage from royal relatives, influential figures, and court ladies connected to the royal family. These Buddhist paintings and hall structures also reveal some characteristics of a private temple supported by the royal family.
The paintings at Cheongnyeon-sa Temple are important resources in the investigation of its history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present. Furthermore, they are important pieces of evidence that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iconographic features and stylistic idiosyncrasies of Buddhist paintings at the time, as well as their patrons and painter-monks.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청련사 불화의 조성 현황
 Ⅲ. 청련사 조성 불화의 내용과 특
 Ⅳ. 청련사 봉안 이안 불화 및 연대미상 불화의내용과 특징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유경희(국립중앙박물관) | Ryu Kyung-Hee (National Museum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