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imulation of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KCI 등재

새만금유역 밭경지 초생대 유사저감효과 모의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49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VFSMOD-W 모형을 활용하여 새만금 유역의 초생대 기법 적용에 따른 유사저감효과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먼저 모형의 신뢰도 확보를 위해 새만금 유역 내 초생대 실측치를 활용하여 매개변수를 보정하였으며, 새만금 유역 내 밭경지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모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다양한 밭경지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개발된 모의시나리오는 밭경지 규모 1 ha, 5 ha, 10 ha로 밭의 폭과 길이 비는 1 : 1를 적용 하였으며, 밭의 경사는 7%, 15%를 고려하였다. 또한 강우조건은 50 mm, 100 mm, 150 mm, 200 mm 일강우량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초생대의 유출저감효과는 밭경사 7%와 15%에 대해 2.9~13.5%, 2.9~12.1%로 각각 나타났으며, 유사저감효과는 33.8~97.0%, 27.1~85.9%로 각각 나타나 유출저감효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저감효과를 나타내었다. 유출 및 유사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밭규모, 경사 및 강우량 인자에 따라 초생대 효과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모의 결과를 바탕으로 새만금 유역내 밭경지 규모 10 ha 미만, 경사 15% 이내의 조건에서 밭면적 10% 규모로 초생대를 조성할 경우 유사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study was intended to simulate the sediment reduction effects of the Vegetative Filter Strip (VFS) in uplands of Saemangeum watershed through VFSMOD-W model application. The model was calibrated by using the field data an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design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of uplands characteristics in Saemangeum watershed. The simulation scenarios were considered various size and slope of uplands including 1 ha, 5 ha, 10 ha of field size with width-length ratio of 1 : 1 having 7% and 15% of slopes under the daily rainfall of 50 mm, 100 mm, 150 mm, and 200 mm in order to mimic the different fields conditions. The effluent reduction ranged from 2.9~13.5% and 2.9~12.1% for runoff, and 33.8~97.0% and 27.1~85.9% for sediment under the field’s slope of 7% and 15%, respectively. The VFS reduction effects showed different degree of influence from field size, slope, rainfall amounts. Based on the simulated results, the sediment contribut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expected to be reduced in the condition of VFS constructed 10% of fields in outlet of less than 10 ha of uplands having less than 15% of the slope.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2.1 VFSMOD-W모형
  2.2 연구대상지
  2.3 모형의 보정
  2.4 모의 시나리오
 3. 결과 및 고찰
  3.1 유출저감 효과
  3.2 유사저감 효과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Lee Seul Gi(Department of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슬기
  • Jang Jeong Ryeol(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장정렬
  • Choi Kyung Sook(Department of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최경숙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