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 Study on Non-Subtraction and Subtraction Technique in 3-Dimensional Angiography of the Cerebral Aneurysm KCI 등재

뇌동맥자루 3차원 혈관조영술에서 비감산 및 감산 기법에 관한 연구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559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이 연구는 뇌동맥자루의 임상적 진단에 사용되는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과 3차원 디지털 감산 혈관조 영술을 동일 부위에 시행한 환자 53명의 영상에서 뇌동맥자루 경부 직경, 최대 직경, 최대 면적 및 체적을 측정하고, 각 검사법의 영상 노이즈와 피폭선량을 분석하여 뇌동맥자루 진단검사에서의 임상적 진단 차이를 비교하였다.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과 3차원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에서 뇌동맥자루의 경부직경, 최대 직경, 최대면적, 체적, 노이즈를 비교한 결과가 일치하거나 아주 미세한 차이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사선 피폭선량은 3차원 디지털 감산 혈관조영술에 비하여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이 현저히 낮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뇌동맥자루의 임상적 진단을 목적으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환자의 피폭선량을 감소를 위해 3차원 디지털 혈관조영술이 우선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d the diameter, maximum diameter, maximum area and volume of the cerebral aneurysm in 53 patients who underwent three-dimensional digital angiography and three-dimension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which were used for the clinical diagnosis of cerebral aneurysm, image noise and radiation exposure dose of each test method were analyzed to compare clinical diagnosis differences in the cerebral aneurysm diagnosis. Three-dimensional digital angiography and three-dimension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showed that the neck diameter, maximum diameter, maximum area, volume, and noise of the cerebral aneurysm were identical or very small. However, the three-dimensional digital angiography significantly decreased the radiation exposure dose compared to three-dimensional digital subtraction angiography. Therefore, in case of clinical diagnosis of cerebral aneurysm, three-dimensional digital angiography should be preferentially used to reduce radiation exposure dose of patient.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MATERIAL AND METHODS
  1. 연구 대상
  2. 연구장비 및 검사 방법
   2.1 연구장비
   2.2 검사방법
   2.3 영상분석 및 통계처리
 III. RESULTS
  1. 뇌동맥자루 측정 결과
  2. 뇌동맥자루 노이즈 측정 결과
  3. 3D-DA와 3D-DSA의 검사 피폭선량
 IV. DISCUSSION
 V. CONCLUSION
 Reference
 요 약
저자
  • Kyung-Wan Kim(Department of Biomedical Health Science, Graduate School of Dong-eui University, 동의대학교 대학원 보건의과학과) | 김경완
  • In-Chul Im(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ong-eui University, 동의대학교 방사선학과) | 임인철
  • Hyo-Yeong Lee(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ong-eui University, 동의대학교 방사선학과) | 이효영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