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Assessment of CMIP5 GCMs for future extreme drought analysis KCI 등재

미래 극한 가뭄 전망을 위한 CMIP5 GCMs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07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한국수자원학회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간의 극한 가뭄을 분석하기 위하여 RCP 시나리오 기반의 CMIP5 GCMs 강우자료(2011~2099)를 활용하였으며, 과거 관측 치의 경우 기상청 ASOS자료(1976~2005)를 이용하여, 미래 가뭄 평가를 하였다. 한반도 5대강(한강, 낙동강, 금강, 섬진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연평균 강우량, 무강우일수, Drought Spell, Average Severity를 비교 분석한 결과, 가장 심한 수준의 미래 가뭄을 전망하는 GCM은 CMCC-CMS, IPSL-CM5A-LR, IPSL-CM5A-MR로 나타났으며, 보통 수준의 미래 가뭄을 전망하는 GCM은 HadGEM2-CC, CMCC-CM, HadGEM2-ES, 상대적으로 미래의 가뭄을 약하게 전망하는 GCM은 CESM1-CAM5, MIROC-ESM-CHEM, CanESM2로 선정되었다. 극한 가뭄을 전망하는 모델로 는 CMCC-CMS, 가장 약한 가뭄을 전망하는 모델은 CanESM2를 선정하여 한반도에 적용한 결과 CMCC-CMS는 과거 대비 가뭄의 심도 및 빈도 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anESM2는 과거 대비 심도는 증가하였지만 발생빈도는 적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미래 극한 가뭄 평가에 있어서 합리적인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선정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CMIP5 GCMs rainfall data (2011~2099) based on RCP scenarios were used to analyze the extreme drought evaluation for the future period. For prospective drought assessment, historical observations were used based on the 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data (1976~2010) of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various indicators, such as average annual rainfall, rainy days, drought spell, and average drought severity was carried out for the drought evaluation of the five major river basins (Han river, Nakdong river, Geum river, Sumjin river, and Youngsan river) over the Korean peninsula. The GCMs that predicted the most severe future droughts are CMCC-CMS, IPSL-CM5A-LR and IPSL-CM5A-MR. Moderate future droughts were predicted from HadGEM2-CC, CMCC-CM and HadGEM2-ES. GCMs with relatively weak future drought forecasts were selected as CESM1-CAM5, MIROC-ESM-CHEM and CanESM2. The results of this study might be used as a fundamental data to choose a reasonable climate change scenario in future extreme drought evaluation.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대상 자료 및 분석 방법
  2.1 GCMs 및 가뭄지수
  2.2 분석방법
 3. CMIP5 GCMs 평가
  3.1 연평균 강수량
  3.2 무강우일수
  3.3 가뭄발생빈도
  3.4 평균가뭄심도(Average severity)
 4. GCM을 활용한 한반도 미래 가뭄 전망
  4.1 가뭄발생빈도 변화
  4.2 평균가뭄심도 변화
  4.3 계절별 가뭄 발생빈도 변화
  4.4 계절별 평균 가뭄심도의 변화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Hong Hyun-Pyo(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홍현표
  • Park Seo-Yeo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박서연
  • Kim Tae-Woong(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Hanyang University) | 김태웅
  • Lee Joo-Heon(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Joongbu University) | 이주헌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