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쌀식빵의 품질특성 KCI 등재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Containing Trehalo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3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본 연구는 설탕의 일부를 트레할로스로 치환하여 제조한 쌀식빵의 품질을 검토한 것이다. 쌀식빵의 맛과 품질을 새롭게 하고 노화 억제 효과가 있는 트레할로스를 설탕 사용량의 25%(Ts25), 50%(Ts50), 75%(Ts75)를 트레할로스로 각각 치환하여 제품을 제조한 다음 상온에서 0, 2, 4일간 저장하면서 경시변화를 확인하였다. 쌀식빵의 비체적은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쌀식빵의 경우 대조군의 97%로 약간 줄어든 결과를 보였으나 경시적인 변화는 감소률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함량 또한 0일차에는 대조군과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 간 차이가 없었지만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의 수분함량은 경시변화가 작아 보습 효과가 나타났다. 쌀식빵의 경도는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시료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아 트레할로스의 첨가는 쌀식빵 경도를 낮추어 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쌀식빵의 맛은 대조군에 비해 Ts50의 시료가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시변화를 살펴보면 대조군의 경우 2일차, 4일차에서 크게 감소하였지만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는 맛의 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풍미와 질감,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도 트레할로스 첨가 시료가 대조군보다 전반적으로 좋다고 나타나 대조군에 비해 시간이 경과할수록 품질이 유지 또는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트레할로스 첨가는 품질 지속시간 증가에 따른 상품성을 기대할 수 있어 제과·제빵 관련 상품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Trehalose was used to manufacture rice bread in two ways: one was to substitute trehalose for sugar by (0, 25, 50, and 75%) trehalose in each sample and the other was to analyze the temporal changes in rice bread on Day 0, on Day 2, and on Day 4. The results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volumes, water content, water activity, variation in weight and height, physical property test, and sensory test and measurements of the temporal change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variation in specific volumes, rice bread containing trehalose had the content and temporal changes decrease significantly (p<0.001). Second, as for texture, a higher trehalose content led to a slightly lower level of hardness. As for the temporal changes, addition of trehalose is generally effective in decreasing hardness of rice bread. the sample containing trehalose showed an almost similar value. The control group not containing trehalose showed the significantly lowest level of cohesiveness, springiness, Chewiness. Finally, the sensory evaluations revealed that the taste, Flavor, and Sweetness was at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in the group with trehalose substituted for sugar than in the control group. An increase in the trehalose content led to an increase in overall eating quality.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실 험
  2.1. 재료
  2.2. 트레할로스를 첨가한 식빵 제조
  2.3. 실험방법
 3. 결과 및 고찰
  3.1. 비체적
  3.2. 수분함량
  3.3. 수분활성도
  3.4. 텍스처
  3.5. 관능검사
 4. 결 론
 References
저자
  • 배대석(위덕대학교 외식산업학부) | Dae Seok Bae (Division of Food Service Industry, Uiduk University)
  • 이진식(위덕대학교 외식산업학부) | Jin Shik Lee (Division of Food Service Industry, Uiduk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