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해안가에 매설된 내외부 3층 피복 수지파형강관의 장기재령 내구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Research on the longterm durability of 3 Layers Composite Corrugated Steel Pipe(CCSP) buried in Seasho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7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콘크리트관은 하수관으로 널리 쓰이지만, 중량이 무거워 취급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하수 및 해수 지역에 매설될 경우 황산수소(H2S)와 염화물에 의한 화학적 침식 등으로 인해 균열, 단면 감소 등 각종 열화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파형강관을 대신하여 사용하지만 시공특성상 파손이 생기거나 매설지역에 부등침하가 존재하거나 과도한 외부압력이 작용할 경우 누수 또는 파손이 발생하여 관거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3겹으로 코팅된 수지파형강관(CCSP)을 파형강관 대신 하수관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우선 CCSP를 화학약품에 침지한 후 마모율 및 중량감소 등을 통해 화학저항성을 알아보았다. 특히 해안가에 시공될 경우 장기재령 내구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부산 감만항 인근에 수지파형강관을 매설한 후 재령 10년 및 15년이 경과한 시점에 피복부착력을 확인하기 위해 염수분무, 핀홀, 음극박리시험을 실시하였으며 외압에 대한 저항성을 알아보기 위해 재하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모든 항목에서 KS품질 기준을 만족하고 관거로서의 소요성능을 확보하고 있어 장기재령 내구성을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concrete pipe is widely used as a sewage pipe, but it is difficult to handle and construct by its heavy weight. If buried in sewage and seawater areas, deterioration occurs due to erosion by hydrogen sulfate (H2S) and chloride, and reduction of cross section due to cracks, delamination, extention, etc.
A Corrugated Steel Pipe coated with PE has been widely used to replace the concrete pipe, but water leaks were occurd where the connection is weak against external pressure.
In this paper, research was conducted to apply Composite Corrugated Steel Pipe(CCSP) coated with three layers to sewage pipes instead of Corrugated Steel Pipe. The abrasion volume ratio and chemical resistance test were performed for check the quality of CCSP. To check the performance of longterm durability of CCSP buried at seashore, various of experiments such as salt spray, pinhall, adherence and loading test were conducted

목차
Abstract
 1. 서 론
 2. 본 론
  2.1 수지파형강관
  2.2 실험방법
 3. 실험결과 및 고찰
  3.1 단면손실 저항성
  3.2 화학약품 저항성
  3.3 장기재령 해수 저항성
 4. 결 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정지승(동양대학교 철도건설안전공학과) | Chung Jee-Seung (Department of Railroad Construction & Safety Engineering, Dongyang University)
  • 손태정(㈜성호철관 기술연구소) | Son Tae-Jung (SEONGHO CSP CO., LTD.)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