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2차원 정밀 유한요소 해석을 통한 옹벽 구조물의 내진 취약도 평가 KCI 등재

Seismic Fragility Evaluation of Retaining Wall by 2D Finite Element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87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복합신소재구조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한국복합신소재구조학회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옹벽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를 위해 2차원 유한요소 해석을 수행하였다. 2차원 유한요소 모델은 실제로 시공된 옹벽 구조를 기반으로 2차원 평면변형 요소로 모델링되었으며, 지반은 각각 유한요소와 무한요소로 모델링 하였다. 지진하중은 총 38개의 인공 지진을 생성하여 사용하였고, 생성된 인공 지진파를 11개의 PGA로 나누어 총 418회의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수치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옹벽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취약도를 분석하였다. 취약도 분석 결과 콘크리트 및 철근의 취약도 곡선이 낮은 PGA 수준에서 급격히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유한요소 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의 옹벽 구조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의 지진파가 발생하더라도 높은 파괴확률로 인해 지진에 상대적으로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wo-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ground condi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seismic performance of retaining wall structures. Two dimensional FEM model was modeled based on the real field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ground was modeled both finite elements and infinite elements, respectively. A total of 38 artificial earthquakes are used for seismic loads. A total of 418 analyzes were performed by dividing the PGA into 11 for each artificial seismic wave. Based on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seismic fragility of retaining wall structures was analyzed. From the result of the fragility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fragility curves of concrete and reinforcement were drastically changed at low PGA level. Those are relatively weak due to the high probability of failure even if relatively low level seismic waves occur in real field retaining wall structure based on the FEM analysis results.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유한요소 해석
  2.1 옹벽 구조물의 유한요소 모델링
  2.2 지반의 유한요소 모델링
  2.3 재료구성모델
  2.4 시간 이력 해석법
 3. 유한요소 해석결과
 4. 취약도 분석
 5. 결 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
  • 김진섭(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Kim Jin-Sup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임정희(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Lim Jeong-Hee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정영석(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Jung Young-Seok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권민호(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Kwon Min-Ho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