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한국형 각성추구 척도의 통계적 검증 : 탐색 및 확인적 요인분석 KCI 등재

Statically Verification on the Korean`s Arousal Seeking Scale :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0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위험 또는 모험스포츠 참가자의 각성추구 행동경향을 측정하고 예측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통계적 검증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자는 수영, 테니스, 야구, 헬스 그리고 패러글라이딩에 참가하는 일반인 남녀 442명(18세∼49세)을 대상으로 정용각(1997)이 구성한 질문척도를 통하여 조사분석 하였다. 척도에 대한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구조화된 요인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검증된 요인에 대한 종목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MANOVA를 통한 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각성추구 행동에 대한 스릴추구와 신기함 추구 요인이 탐색되었고, 이 두 요인구조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수렴타당도와 판별타당도가 검증되었으며, 스릴추구 요인 3개 문항과 신기함 추구 요인 3개 문항으로 최종 연구모형이 확증되었다. 최종모형에 대한 적합도의 검증결과 χ^2, GFI ,AGFI, RMR 등의 적합도에서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으며, 신뢰도도 .82 이상의 값을 보였다. 확인된 요인에 대한 여가운동 참가종목 별 통계적 차이를 검증한 결과 모험스포츠인 패러글라이딩 참가자가 수영, 헬스, 테니스, 그리고 야구에 참가하는 동호인들보다 스릴추구와 신기함 추구에서 모두 유의하게 높은 값을 나타내어 감각추구 척도를 통한 선행연구의 결과들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tically verify a scale on arousal seeking for analyzing and predicting participants` behaviors in risk or adventure sport. And the study was also to confirm the verification of fitness on the structure of factors explored by Jung(1997). The subjects were 442 persons(321-male, 121-female) having participated in the leisure and exercise club or class activities(96-swimming, 75-fitness, 76-tennis and badminton, 75-baseball, 59-paragliding). The age of the subjects ranged from 18 to 49. This study used the `Questionnaire Arousal Seeking Scale` developed by Jung(1997).
We appli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MANOVA and for the statistic analysis, and IBM PC with SPSS v10.0 and AMOS v4.0 program was used for the calcul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rousal seeking behaviors was explore with thrill seeking factor(5 items) and novelty seeking factor(7 items)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se two factors were found to be verified on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throug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model identification was confirmed to be a proper model in the x^2, GFI, AGFI, RMR, NFI, RFI, M, TLI, CFI, and RMSEA. The final model were confirmed with thrill seeking factor(3 items) and novelty seeking factor(3 items). The scale showed group differences between the events of leisure sport and exercise on the 2 factors. The subjects having participated in paragliding got higher scores in the arousal seeking factors(thrill seeking, novelty seeking) than those having participated in other types of sport.

저자
  • 정용각(부산외국어대학교) | Jung Yong Gak (P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