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5-6세 남자아동을 위한 대근운동발달검사(TGMD-Ⅱ)의 계층구조분석 적용 KCI 등재

An Application of Analytic Hierarchy Process on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Ⅱfor 5 to 6 years old bo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23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계층구조분석(AHP)을 적용한 운동발달평가 도구의 상대적 중요도를 제시하는 초기 연구로서 5-6세 남자 아동을 위한 대근운동발달 검사의 운동기술 요소 및 운동기술을 구성하는 수행기준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는 세부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쌍대비교 방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Expert Choice 2000 및 Microsoft Office Excel 2007을 활용하여 일관성 검증을 통해 신뢰도와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대근운동발달검사지 대분류의 상대적 중요도는 이동기술(0.527)이 물체조작 기술(0.473)보다 다소 중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구성하는 이동기술에 있어서 상대적 중요도는 달리기(0.238), 홉(0.208), 슬라이드(0.165), 갤롭(0.152), 립(0.133), 제자리 멀리뛰기(0.103)의 상대적 중요도를 보였으며 물체조작 기술의 상대적 중요도는 받기(0.259), 오버핸드 던지기(0.234), 차기(0.183), 제자리 드리블(0.139), 언더핸드 던지기(0.093), 놓인 공치기(0.092)의 순으로 평가되었다. 끝으로 대근운동발달 검사지 전체항목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받기 항목의 `공을 받기 위해 팔을 공이 오는 방향으로 뻗는다`, 달리기 항목의 `양발 모두 지면에서 떨어지는 비행구간이 있다`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놓인 공치기 항목의 `주로 사용하는 손이 사용하지 않는 손 위에 있다`, `우타자 위치에 있는 아동의 왼쪽 어깨가 가상의 토스하는 사람을 향해 있다`가 가장 낮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운동발달 현장에서 5-6세 남자 아동의 대근운동 능력을 검사할 시 수행기준의 가중치를 반영한 세분화된 검사결과를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n initial research suggesting relative weighting of motor development test tool by using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ve weighting on motor skill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of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Ⅱ for 5 to 6 years old boy.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explained about the pairwise comparison and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 to expert who are the professional group on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Ⅱ. We analyzed the consistency which represents the reliability, and the relative weighting through Expert Choice 2000 and Microsoft Office Excel 2007 for data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ly, the relative weighting of locomotor skill`s middle classification group were in order such as run (0.238), hop (0.208), slide (0.165), gallop (0.152), leap (0.133), horizontal jump (0.103). Secondly, the relative weighting of object control skill`s middle classification group were such as catch (0.259), overhand throw (0.234), kick (0.183), stationary dribble (0.139), underhand roll (0.093), striking a stationary ball (0.092) in order of precedence. Lastly, the relative weighting of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Ⅱ`s large classification group were that locomotor (0.527) skill is more important than object control (0.473) skill. Also, in the relative weighting of the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Ⅱ`s overall items `Arms extend while reaching for the ball as it arrives` of catch item, `Brief period where both feet are off the ground` of run item were valued the highest, and `Dominant hand grips bat above non-dominant hand`, `Non-preferred side of body faces the imaginary tosser with feet parallel` of striking a stationary ball were valued the lowes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as a basic information, which produces specific results representing a relative weighting when a tester uses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Ⅱ for 5-6 years old boy.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조사절차
  3. 자료분석
 Ⅲ. 연구결과
  1. 대근운동검사의 항목 별 일관성 검증
  2. 대근운동검사의 상대적 중요도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한동욱(전북대학교) | Han Dong-Wook (Ch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