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과거 문헌 비교를 통한 원주천 수서곤충 군집구조 변화 KCI 등재

Changes in Aquatic Insect Community Structure in Wonju Stream based on a Comparison of Previous Stud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32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원주시의 주요 하천인 원주천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상류지역인 관설동에서 하류지역인 호저면까지 총 3지점을 선정하였으며, 물리·화학적 분석, 수서곤충상 변화, 군집분석, 기능군 분석, Rarefaction curve, 통계분석 등을 실시하여 2004년의 연구와 비교·분석하였다. 2004년과 2016년의 종비율과 개체수 비율을 비교한 결과, 종비율은 2004년에 19종 (38.78%), 2016년에 22종 (36.67%)으로 하루살이목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개체수 비율은 2004년에 27,759.2개체 (ind. m-2, 84.30%), 2016년에 4,573.2개체 (ind. m-2, 41.64%)로 파리목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체 출현종 변화를 분석한 결과 공통종은 총 26종, 2004년에만 출현한 종은 총 23종, 2016년에만 출현한 종은 총 34종으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2004년, 2016년의 우점도지수,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전체 우점종은 2004년, 2016년 모두 깔따구류 (Cronomidae sp.)로 분석되었으며, 아우점종은 2004년에는 줄날도래 (Hydropsyche kozhantschikovi), 2016년에는 명주 각다귀 KUa (Antocha KUa)로 나타났다. 기능군 분석 결과, 서식기능군은 Burrowers가 평균 -68.00% (±2.15)로 가장 큰 변동율을 나타내었으며, 섭식기능군은 Collector-gathers가 평균 -40.12% (±1.77)로 가장 큰 변동율을 나타내었다. Rarefaction curve 분석 결과, 연도별 관찰된 개체수를 71개체 (ind. m-2)로 가정할 때 2004년에 6종, 2016년에 8종으로 중류지역에서 종이 가장 빈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리적요인, 수질, 군집지수, 종수, 개체수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 요인 및 수질은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개체수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MDS 분석 결과, 2004년에는 상·하류지역의 유사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2016년에는 상·하류지역의 유사도가 낮은 것으로 분석되어 물리·화학적 환경변화가 원주천 일대 수서곤충의 종조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a survey of the Wonju stream in Wonju city from May 2015 to September 2016. A total of three sites were selected from the upstream area Gwanseol-dong to the downstream area Hojeo-myeon. Physicochemical analysis, aquatic insect changes, cluster analysis, functional group analysis, rarefaction curve,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mpared between 2004 and 2016. A total of 19 species (38.78%) in 2004 and 22 species (36.67%) in 2016 were analyzed, with the largest number belonging to ephemeroptera. The individual ratio ranged from 27,759.2 (ind. m-2, 84.30%) in 2004 to 4,573.2 (ind. m-2, 41.64%) in 2016, with the highest number involving diptera. As a result of the community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the indices of dominance,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 2004 and 2016 (p<0.05). Burrowers of the habitat orientation groups showed the greatest variation with an average of -68.00% (±2.15) and the collector-gatherers of the functional feeding groups showed the highest variation of -40.12% (±1.77). The rarefaction curve analysis suggested that the species was the poorest in the midstream regions in 2004 and 2016. Physical factors and water quality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diversity index, evenness index,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MDS analysis of the similarity of upstream and downstream regions was high in 2004, and low in 2016. The differences were attributed to physicochemical changes such as increase in flow velocity due to improvement of small dams and changes in bottom structure.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조사지점
  2. 조사시기
  3. 조사방법
 결과 및 고 찰
  1. 물리·화학적 분석
  2. 수서곤충상 변화
  3. 군집분석
  4. 기능군 분석
  5. 통계분석
 적 요
 REFERENCES
저자
  • 한중수(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Jung Soo Han
  • 최준길(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Jun Kil Choi
  • 원경호(원주시청) | Kyung Ho Won
  • 이황구(상지대학교 생명과학과) | Hwang Goo Le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