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 지질학적 비교 KCI 등재

Geological Comparison Between Musan Iron Deposit in North Korea and Iron Deposits in Anshan-Benxi Area in Chin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51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북한 무산 철광상과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는 시생대 호상철광층으로 북중국 지괴의 동쪽 블록 중 용강 블록에 속한다. 무산 철 광상을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무산층군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를 배태하는 변성퇴적암은 안산층군으로 이들은 주로 철질 규암, 각섬암, 편암, 혼성암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주 광종은 주로 철질 규암에 배태되어 있는 자철석이다. 광체의 모양은 무산 철 광상의 경우 습곡에 의해 말발굽 모양을 갖지만 안산-번시 철 광화대의 경우 대부분 층상의 모양을 갖는다. 호상철광층의 생성 연대는 무산 철 광상은 약 2.66-2.52 Ga이고,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2.55-2.53 Ga로 보고되어 시기적으로 유사하며, 광상형은 모두 알고마 유형으로 알려져있다. 결론적으로 무산 철 광상과 안산-번시 철 광화대는 지질 및 형성 시기, 그리고 광상 특성이 매우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Musan iron deposit in North Korea and iron deposits in Anshan-Benxi area in China are Archean banded iron formations and included in Longgang block in Eastern block of North China Craton. Host formations of Musan iron deposit and Anshan-Benxi iron mineralized belt are Musan group and Anshan group, respectively. These groups consist of magnetite-bearing quartzite, amphibolite, schist, and migmatite. Host rock of banded iron formation in Musan deposit and Anshan-Benzi mineralized belt is magnetite-bearing quartzite. Shape of ore bodies in Musan deposit is horse's hoof due to the fold while shape of orebodies in Anshan-Benxi mineralized belt is layer. The previous studies revealed the both of banded iron formations are contemporaneously deposited during the late Archean (Musan deposit and iron deposits in Anshan-Benxi area: 2.66-2.52 Ga and 2.55-2.53 Ga, respectively). Musan deposit and iron deposits in Anshan-Benxi mineralized belt belolng to Algoma type BIF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s of geology, formation ages, and deposit types of Musan deposit and Anshan-Benxi minerlized belt are very similar.

목차
요약
 ABSTRACT
 서 론
 북한 무산 철광상
 중국 안산-번시 철광화대
  다구산 광산
  얀치안 광산
  치다산 광산
  안치안 광산
 결 론
 REFERENCES
저자
  • 김남훈(한국지질자원연구원 DMR융합연구단) | Namhoon Kim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DM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고상모(한국지질자원연구원 DMR융합연구단) | Sang-Mo Koh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DM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이범한(한국지질자원연구원 DMR융합연구단) | Bum Han Lee (Convergence research center for development of mineral resources (DMR),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