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 운동발달 지도자의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과 시각단서활용 능력의 차이 KCI 등재

Differences of Visual Search and Utilizing Visual Cue on Expertise of Child Motor Development Instru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6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아동 운동발달 지도자의 숙련성에 따른 시각탐색 전략과 시각단서 활용 능력의 차이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숙련자 6명과 비숙련자 6명, 총 1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은 안구 움직임 추적 장치를 착용한 후, 주의산만 요인이 포함된 운동발달 수업 동영상을 보고, 지각한 주의-초점 영역에 대해 구두로 표현하는 과제를 수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안구 움직임 추적 장치, 운동발달 수업 동영상 자료, 빔 프로젝트, 녹음기가 사용되었다. 본 실험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련자는 비숙련자보다 시선고정 빈도가 높았으며 평균시선고정시간이 짧은 높은 시각 탐색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시선고정위치에 대한 결과에서는 숙련자는 비숙련자보다 주변환경 및 도구 영역에 대한 시선고정시간비율이 높았으며, 비숙련자는 숙련자보다 주 과제수행 영역에 대한 시선 고정시간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각한 주의초점 영역에 있어서 숙련자는 주 과제수행 영역, 주의산만 영역, 그리고 아동의 정렬위치 영역에 대한 지각 비율이 높았으나 비숙련자는 주 과제 수행영역에 대한 지각 비율이 다른 영역에 비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운동발달 수업 상황에서 지각 능력은 숙련성과 관계가 있으며, 숙련자는 유용한 정보를 선택적으로 획 득할 수 있는 능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visual search strategies and utilizing visual cue on the expertise of child motor development instructor. The participants (n=12) consisted of 6 experts and 6 non-experts. Watching distracting teaching situations, they were required to observe the moving picture and then express the actual perceived focus locations. For this experiment, an eye movement system (NAC EMR-9), a beam-projector, and a recording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expert group had high visual fixation frequency and high visual search rate representing short average visual fixation time compared with the non-expert group. In addition, the results on the regional fixation area revealed that the expert group fixated longer on the surroundings or the tools than the non-expert group. The non-expert group, however, fixated longer on the regions on the main task than the expert group. Finally, The results on the perceived focus locations showed that expert group had high perceived focus rate on the regions on the main task, the regions on distraction, and the regions on line up. On the contrary, the non-expert group had very high perceived rate on the main task compared with the other regions. Findings suggest that visual search ability has relationship with expertise, and expert adopt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strategies because they know what information is relevant.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 도구
  3. 실험 과제 및 절차
  4. 자료 분석 및 통계 처리
 Ⅲ. 연구결과
  1. 시선고정 빈도
  2. 시각 탐색율
  3. 시선고정시간 비율
  4. 시선고정위치
  5. 지각한 주의-초점 영역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이승민(충남대학교) | Lee Seung-M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한동욱(전북대학교 스포츠과학산업연구소) | Han Dong-Wook (Institute for Sport Science Indu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