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der Adults` Physical Activity and Its Related Psychological Variables in a Cross-Cultural Viewpoint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노인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신체활동단계 및 단계적변화모형 하위변인들에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 신체활동단계에 대한 단계적 변화모형 하위변인들과 국가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서울의 N구에 거주하는 한국 노인 180명과 미국 루지애나주 B시에 거주하는 미국 노인 174명 총 354의 노인들이 참여하였다. 신체활동단계질문지, 운동효능감질문지, 의사결정질문지, 변화의 과정질문지, 신체활동수준질문지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미국노인들 (75.6%)이 한국노인들 (60.9%)에 비해 보다 더 규칙적으로 신체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X2 = 12.75, p<.001). 단계적변화모형의 하위변인들 중, 운동장애 변인을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신체활동단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전략F(3,349) = 18.61, 인지전략 F(3,349) = 11,12, 운동효능감 F(3,349) = 9.11, p<001, 운동이득 F(3,349) = 5.06,p<01]. 또한 운동효능감 (F(1,341) = 22.97, p<001)과 운동이득변인 (F(1,341) = 10.32, p<001)이 한국과 미국 노인들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판별분석에 따르면, 행동전략, 자기효능감, 국가, 인지전략, 운동이득 변인들이 신체활동을 설명하는데 유의하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lks`λ = .77,F[18,354]= 13.00, p<001). 이들 변인에 의한 신체활동단계의 전체적인 판별의 정확성은 56.7%로 나타났다. 본 연구주제와 관련된 후속연구들은 다른 문화권에 있는 연구대상자들의 신체활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확인하는데 있어 심리적 변인뿐만 아니라, 거시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환경적 변인들을 고려하여야 한다.
The current study tri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and the TTM constructs between Korean and American older adults, to explore differences in the TTM constructs by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TM constructs and nationality on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A total of 354 older adults (Korean 180, American 174) were voluntarily participated from Seoul, Korea and Louisiana, USA. Stages of physical activity scale, exercise self-efficacy scale, decision balance scale, processes of change scale, and physical activity scale were applied to thi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American older adults (75.6%) were more likely to be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y than Korean counterparts (60.9%) (X2 = 12.75, p<.001). Among the TTM constructs, except cons all of other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stages of physical activity [behavioral processes F (3,349) = 18.61, cognitive processes F (3,349) = 11, 12, exercise self-efficacy F(3,349) = 9.11, p = 0.00, pros F(3,349) = 5.06, p = 0.02]. According to regression analysis, behavioral processes, self-efficacy, nationality, cognitive processes, and pros were significant to explain physical activity (Wilks`λ = .77, F [18,354] = 13.00, p<.001). Furthermore,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otal classification accuracy of physical activity stages by the 5 significant variables was 56.7%. Future studies relating to the current study should be focused on not only psychological variables, also social and environmental variables to examine variables associated with physical activity in a social ecological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