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일제 강점기 제작 지형도의 지형 재현 정확도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Representational Accuracy of Terrain in 1:50,000 Topograph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744
  • DOIhttps://doi.org/10.16879/jkca.2018.18.2.02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한국지도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한국지도학회 (The Korean Cartographic Association)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GIS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일제 강점기에 제작된 「조선오만분지일지형도」의 지형 재현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좌표가 보정된 이미지 형태의 지형도로부터 등고선을 추출하였다. 비교를 위한 기준은 현재의 1:25,000 수치지형도의 등고선이다. 등고선으로부터 DEM을 추출하여 지형면 분석, 중첩분석, 3D 분석, 수문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음영기복, 고도 차이, 지형단면, 하계망의 위치, 하천차수 및 길이, 곡률도, 능선의 위치 등을 통하여 지형 재현의 정확도를 정성적 혹은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북한산과 설악산 주변을 사례로 분석을 수행하여 얻은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성적 평가와 정량적 평가 모두에서 서울에 인접한 북한산 주변 지형도의 지형 재현 정확도가 설악산 주변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지형의 기호화 방식, 삼각측량 결과를 바탕으로 한 고도 재현 등 당시 지도제작 방식이 국지적으로 현재와 다른 혹은 부정확한 지형 재현의 결과를 초래하였다. 셋째, 지형에 대한 접근성과 관찰가능성이 지형 재현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설악산 주변의 경우 접근 및 관찰이 용이한 남쪽 사면의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접근성이 떨어지는 북쪽 사면은 매우 부정확하게 재현되었다. 북한산과 설악산 주변 지형 재현 정확도의 차이는 지도화하는 지역이 식민지 지배와 개발에서 차지하는 중요성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presentational accuracy of terrain in 1:50,000 Topographic Map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mad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sing the spatial analysis techniques of GIS. For this, contour lines were digitized based on the rectified image of the topographical map. The benchmark for comparison is the contour lines of the current 1:25,000 digital map. Digital elevation models (DEM) were extracted from contour lines and surface analysis, overlay analysis, 3D analysis, and hydrological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m. The accuracy of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was assessed qualitatively or quantitatively by means of hillshade, elevation difference, elevation profile, the location of stream networks, stream order and length, sinuosity, and the location of ridges.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a case study on Bukhansan and Seoraksan Mountain are follows. First, the accuracy of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around Bukhansan Mountain, which is adjacent to Seoul, is higher than that of Seoraksan Mountain in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s. Second, the map making methods such as the symbolization of special terrains and the estimation of elevation based on the triangulation resulted in different or incorrect topographical representation. Third, accessibility and observability of terrain seems to affect the accuracy of terrain representation. The south slope of Seoraksan Mountain, which is easier to access and observe than the northern slope, was more accurately represented. The accuracy difference between Bukhansan and Seoraksan Mountain seems to be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mapping areas in colonial management and development.

목차
요약
 Abstract
 I. 연구배경 및 목적
 II. 연구 방법 및 평가 지표
  1. 지표 형상 재현의 전반적 정확도
  2. 기복 재현의 정확도 평가
  3. 계곡 위치 및 형상 재현의 정확도 평가
  4. 능선 재현의 정확도 평가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저자
  • 김감영(경북대학교 지리교육과) | Kamyoung Kim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