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ical Variables Influencing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운동행동에 대한 근래의 연구들은 주로 심리적인 이론을 기초로 운동행동의 시작 또는 지속과 심리적인 속성간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운동행동과 그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예측변수들에 관한 국내연구는 그다지 빈번하게 수행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운동행동의 변화와 그에 영향을 주는 단계적변화모형의 이론적 관련성을 확인하는데 있다. 서울에 소재한 S 대학교에 재학 중인 228명의 학생들이 연구참여자로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운동행동의 변화단계 질문지, 변화의 과정 질문지, 의사결정균형 질문지, 그리고 자기효능감 질문지가 대학생들의 운동행동의 단계와 그와 관련된 심리적인 속성들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이를 통해 얻어진 자료의 분석은 빈도분석, χ2 검증, 다변량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판별분석에 의해 수행되었다. 결과에 따르면, 대학생들의 운동행동은 각 운동단계에 따라 다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획전단계 (1.8%), 계획단계 (9.2%), 준비단계 (35.1%), 행동단계 (7.5%), 유지단계 (46.5%). 뿐만 아니라, 행동적, 인지적 변화과정, 자기효능감, 및 운동이득 변인들도 5개의 운동행동 단계에 걸쳐 다르게 사용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더군다나, 대학생들의 운동행동은 단계적 변화모형의 구성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행동의 단계를 구별하는 전체적인 판별의 정확성은 43.9%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단계적변화모형의 모든 구성요소들을 사용하여 한국대학생들의 운동행동을 설명한 첫 번째 시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젊은 성인들의 신체활동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처치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 research on exercise behavior has largely attemp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ttributes and the initiation or adherence of exercise behavior based on psychological theories. Few data are available on the psychological predictors of exercise behavior among Korean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theorized association of Transtheoretical Model (TTM) of behavior change constructs by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s such, we are particularly interested in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of TTM among an infrequently studied population group. A total of 228 Korean students randomly selected from university in Seoul were surveyed. Korean-versions of the Stage of Exercise Behavior Change Questionnaire, Processes of Change Scale for Exercise, Decision Balance Scale for Exercise, and Exercise Self-efficacy Scale were completed by all participants.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2 test, M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The exercise pattern of Korean students was different by each stage of exercise behavior: precontemplation (1.8%), contemplation (9.2%), preparation (35.1%), action (7.5%), and maintenance (46.5%).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behavior distribution emerged as a function of gender. In addition, behavioral and cognitive processes of change, exercise efficacy, and pros differentiated across the stages of exercise behavior. Furthermore,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s' exercise behavio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TTM constructs, and that overall classification accuracy across the stages of change was 43.9%. This study was the first to test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 among Korean students on the basis of TTM.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interventions aimed at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a baseline level from which to evaluate these interven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