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무용학습이 시각 및 청각적 자극과 이미지 상상 동안 뇌파와 POMS 변화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Dance Learning on Changes in EEG and POMS During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and Imagery Imagin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16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평균 10년 경력의 무용전공 여자 대학생 33명과 일반 여자 대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시각 및 청각적 자극에 따른 이미지 상상 동안의 뇌 영역별 뇌파 활성도와 기분상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파 측정은 총 4차례에 걸쳐 각각 5분간씩 기록하였다. 1차 측정은 자극제시 전 안정시, 2차는 시청각적인 무용 동영상 감상 동안, 3차는 청각적인 음악 감상 및 이미지 상상 동안, 4차는 자극이 끝난 안정시에 각각 측정하였다. 측정 부위는 10/20 국제 전극배치법에 의해 차례로 Fp1, Fp2, F3, F4, C3, C4, P3, P4 위치에 전극을 부착하였고, 각 채널별 상대파워를 구하였다. 분석결과, 각 주파수 영역별 상대파워는 쎄타파에서만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기분상태 검사는 총 4차례의 뇌파측정 전과 후의 기분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어판 기분상태 질문지(K-POMS)를 사용하였다. 쎄타파 상대파워의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결과, 8채널 모두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8채널에 대한 집단별 평균값에 있어서 무용수 집단은 총 4차례의 실시간 뇌파 변화에서 일관성 있는 쎄타파의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일반집단에서는 무용집단처럼 일관적이지 않고 쎄타파의 증가도 미미하게 나타났다. 기분상태의 하위 요인에 대한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결과, 긴장, 우울, 혼란에서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집단별 평균값을 비교해 볼 때, 자극제시 전 안정시에 무용집단이 일반집단에 비해 부정적 정서가 낮은 값을 나타내 평소의 정신건강 상태가 안정적임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자극제시 후에는 두 집단 모두 유사한 부정적 정서의 감소를 보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electroencephalogram (EEG) activation and mood state at each brain region during imagery imagination by visual and auditory stimulation with 33 wome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having 10-year career and 33 women university students. Electroencephalogram was measured and recorded for five minutes through 4 times. The first measurement was at stable state before stimulation, the 2nd was during dance appreciation by audiovisual aids, the third was during listening to music and image imagination and the fourth was at stable state after stimulation. Measured parts were Fp1, Fp2, F3, F4, C3, C4, P3 and P4 with International 10/20 electrode system and relative power by each channel was obtained. Mood state test used Korean edition of the profile of mood states (K-POMS), examining mood state before and after four EEG measurements.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 two way ANOVA of relative power of theta wave, 8 channels show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In particular, dancer group showed consistent increase of theta wave at four real-time EEG changes. But, general group showed inconsistent and trivial increase of theta wave.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 two way ANOVA of subfactors of mood state,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at tension, depression and confusion. From comparison of mean value by groups, dancer group showed low value of negative emotion at stable state before imagery stimulation compared to general group and it had relatively stable mental health state. But after imagery stimulation both groups showed similar decrease of negative emotions.

저자
  • 조동진(조선대학교) | Dong Jin Cho
  • 정혜선(조선대학교) | Hea Sun Jung
  • 심준영(조선대학교) | Jun Young Shim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