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외적주의초점에 따른 지도형태가 윈드서핑 피칭기술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Learning Effects of Instruction Type by External Focus on Windsurfing Pitching Skil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17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외적주의초점에 따른 지도형태의 학습효과를 규명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외적주의초점에 의해 유도된 것으로 동작과 관련된 효과 또는 동작과 관련이 없는 결과에 집중하도록 하는 지도방법의 상대적 학습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사용된 과제는 윈드서핑의 피칭기술이었으며 실험을 위해 30명의 남자 중학생들이 참가하였다. 이들은 각각 그룹 A, B, C에 무선 배정되었다. 그룹 A는 동작관련 외적주의초점 그룹이었으며 그룹 B는 수행결과 관련 외적주의초점 그룹이었으며 그룹 C는 통제그룹이었다. 종속변인은 보드위에서 균형을 유지한 시간(초)이었다. 실험설계는 습득단계의 경우 3×7혼합설계였으며 분단을 반복 측정하는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파지단계와 전이검사는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습득단계에서 그룹 A는 다른 집단들보다 우수한 연습의 향상을 보였으며, 특히 연습의 후반부에서 다른 두 집단 보다 우수한 연습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즉각 파지검사, 지연 파지검사 그리고 전이검사의 분석에서도 그룹 A의 상대적 우수성이 입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외적주의초점에 의해 유도된 것으로 기술과 관련된 동작의 효과에 학습자의 주의를 집중하도록 하는 것이 윈드서핑의 피칭 기술 학습에 보다 효율적이라는 것을 제시해 주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struction type by external focus of attention. Definitel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it is more beneficial of the movement effect is related to the movement technique, relative to other movement outcome. Used task was pitching skill of windsurfing. The participants of this experiment were 30 middle school male students. There were three groups(group A, B, C) consisting of ten boys in each group. Group A was related to movement skill, group B was not related to movement skill, and group C was control group. Participants performed total 35 trial in acquisition phase and performed 5trials in each immediately retention test, delayed retention test and transfer test. Independent variable was balance time on board. The data of acquisition was analyzed in a 3(instruction type)×7(block)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the last block and Retention & transfer test data was analyzed in one 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s follows. (a) Generally analysis of acquisition phase showed that group A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B and C. (b) In the immediately retention test, also group A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B and C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 B and C. (c) The results of delayed retention test showed that group A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B and C, and group B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C. (d) Group A was more effective than group C in transfer test. This results indicated that focusing on technique-related effects is more effective.

저자
  • 이한우(연세대학교) | Han Woo L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