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opulation Distribution and Growth Environment of Euphorbia jolkinii Boiss. in Jeju Island, Korea KCI 등재

제주 자생 암대극의 개체군 분포와 생육환경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61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암대극(Euphorbia jolkinii Boiss.)은 우리나라 제주도 및 남부 해안가 암석지에서 자생하는 대극과(Euphorbiaceae)의 다년생 초본식물이다. 등잔모양꽃차례가 황록색으로 3월부터 5월까지 긴 기간 동안 개화하기 때문에 새로운 관상식물로 개발할 가치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암대극을 재배화하고자 우선적으로 제주도의 자생지 환경과 개체군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다. 제주도 전역의 해안을 따라서 암대극 개체의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40여 지점에 걸쳐 약 14,817개체가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중 제주도 본섬의 동쪽에 위치한 우도에 1,075개체(전체의 7.3%), 북서쪽에 위치한 비양도에 952개체(6.4%), 남쪽에 위치한 가파도에 589개체(4.0%)가 조사되었다. 암대극은 주로 제주도 본섬 남동부 해안가 암석지대에 집중적으로 자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파도, 우도, 비양도의 경우에도 섬 동쪽지역에만 분포되어 있었다. 암대극의 생육은 자생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초장, 줄기 길이, 줄기 직경은 꽃 크기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모든 지역에서 꽃이 피는 시기는 3월 말로 비슷하게 개화가 시작되었고, 6월 초에는 대부분의 꽃에서 종자가 성숙하여 탈리되었다. 암대극의 주변 식생은 갯개미자리, 돌가시나무, 순비기나무, 갯강활 등 30여 종이 분포되어 있었고, 초본이 80%를 차지하는 데에 반해, 목본은 20%로서 초본식물이 주를 이루었다. 토양의 pH는 8.3~9.4의 범위에 있었으며, 염분 농도는 0.003~0.017%로 나타났다. 유기물 함량은 중문에서 1.9%, 가파도에서 1.4%, 표선면에서 1.0%로 나타났고, CEC는 가파도에서 10.7cmol+/kg, 표선면에서 5.6cmol+/kg, 중문 지역에서 1.3cmol+/kg로 나타났다. 전기전도도는 중문, 가파도, 표선면에서 각각 0.47dS/m, 0.19dS/m, 0.16dS/m으로 나타났고, Cl-은 57.45mg/kg, 63.01mg/kg, 8.12mg/kg으로 나타났다. 중문에서 유효인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Euphorbia jolkinii Boiss. is a perennial herb belonging to the family Euphorbiaceae and is native to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It holds potential as a new ornamental plant, with yellow-green flowers and a long flowering period which ranges from March to May.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nd growth environments in habitats that are native for the species. Identification of 14,817 plants was done at more than 40 sites along the coastal area of Jeju Island. Of these, 1,075 individuals (7.3%) were identified in eastern Udo, 952 individuals (6.4%) were found in north-west Biyangdo, and 589 individuals (4.0%) were identified in southern Gapado. E. jolkinii was found mainly occurring on rocky areas of the southeastern coast. Similarly, it was distributed only in the eastern part of the island i.e., in the areas of Gapado, Udo, and Biyangdo. The growth of E. jolkinii varied depending on its native area. Plant height, stem length, and stem calipe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flower size. In each area, flowers bloomed in late March, and seeds were dispersed starting in early June. Approximately 30 plant species were distributed in the vegetation surrounding E. jolkinii habitats, including Spergularia marina (L.) Besser, Rosa wichuraiana Crep. ex Franch. & Sav., Vitex rotundifolia L.f., and Angelica japonica A. Gray. Herbaceous and woody plants accounted for 80% and 20%, respectively. Soil pH ranged from 8.3 to 9.4, and salinity values obtained ranged from 0.003 to 0.017%. Organic matter was determined to be present at 1.9% in Jungmun, 1.4% in Gapado, and 1.0% in Pyoseonmyeon, and cation exchange capacity (CEC) values were recorded as 10.7 cmol+/kg in Gapado, 5.6 cmol+/kg in Pyoseonmyeon, and 1.3 cmol+/kg in Jungmun, respectively. Electrical conductivity (EC) was determined to be 0.47 dS/m in Jungmun, 0.19 dS/m in Gapado, and 0.16 dS/m in Pyoseonmyeon, and Cl− was 57.45 mg/kg, 63.01 mg/kg, and 8.12 mg/kg, respectively. Available phosphate was not detected in the coastal areas of Jungmun.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개체군 분포 특성 조사
  형태적 특성 조사
  주변 식생 조사
  자생지 생육환경
 결과 및 고찰
  개체군 분포 특성
  형태적 특성 조사
  자생지 주변 식생 조사
  자생지 생육환경
 초 록
 References
저자
  • Un Seop Shin(Useful Plant Resources Center, Korea National Arboretum) | 신운섭
  • Jong Suk Lee(Useful Plant Resources Center,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종석
  • Hye Jin Oh(Useful Plant Resources Center, Korea National Arboretum) | 오혜진
  • Sang Yong Kim(Useful Plant Resources Center, Korea National Arboretum) | 김상용
  • Seung Youn Lee(Useful Plant Resources Center, Korea National Arboretum) | 이승연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