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ffect of Substrate Volumetric Water Content on Performance of Ardisia pusilla Grown in Indoor Conditions KCI 등재

상토 용적수분함량이 실내조경용 산호수(Ardisia pusilla)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61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화훼연구 (Flower Research Journal)
한국화훼학회 (Korean Society for Floricultural Science)
초록

대부분의 자동관수시스템 기술은 생산측면에서의 원예산물 효율적 재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화훼식물의 관상가치를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식물을 유지 관리하는데 적용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내 조경식물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산호수(Ardisia pusilla)의 관상가치를 유지하기 위한 최적의 용적수분함량(volumetric water content, v/v) 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토양수분센서와 데이터로거를 이용한 자동관수시스템으로 처리구별 상토 용적수분함량을 0.3, 0.4, 0.5 및 0.6m3・m-3으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처리 당일과 처리 1, 2, 4주 후에 초장, 초폭, 엽수, 엽면적, SPAD, 잎 수분함량, 생체중, 건물중, 광합성률 및 엽록소 형광과 각 화분의 관수량을 측정하였다. 상토 용적수분함량 처리 1주일 후에는 처리에 따른 생육 및 생리 반응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처리 2주일 후에는 가장 낮은 용적수분함량인 0.3m3・m-3 처리구에서 다른 처리구에 비해 낮은 Fv/Fm 값을 나타냈다. 처리 4주일 후에는 처리에 따른 생리 반응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폭, 지상부 생체중, 지상부 건물중, 엽수, 엽면적과 같은 생육 반응은 가장 낮은 용적수분함량 처리구에서 감소하였다. 본 실험 결과를 통해 산호수는 생육 반응에 비하여 생리 반응이 비교적 빠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0.5m3・m-3 처리 구의 관수량이 가장 많았으며, 처리구와 관계없이 관수량은 지상부 생체중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0.4m3・m-3 처리구에서 산호수의 관상가치가 우수하게 유지되었고, 이를 통해 효율적이고 용이한 물관리가 가능하므로 실내에서 산호수 생육시 0.4m3・m-3 수준의 상토 용적수분함량이 가장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Most automated irrigation technologies focus on effective cultivation of horticultural plants in terms of efficient production,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ornamental plants. The present research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substrate volumetric water content (VWC) needed for Ardisia pusilla to maintain its performance indoors. The threshold levels of substrate VWC were evaluated as 0.3, 0.4, 0.5, or 0.6 m3 ․m−3 using an automated irrigation system with capacitance soil moisture sensors and a datalogger. Plant height and width, number of leaves, leaf area, SPAD, relative water content of leaf, shoot fresh and dry weight, photosynthetic rate, and Fv/Fm were measured at 0, 1, 2, and 4 weeks after treatment (WAT) and irrigation amount of each pot was measur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observed when comparing treatments at 1 WAT, but Fv/Fm decreased at 2 WAT for the lowest VWC treatment (0.3 m3 ․m−3). While no differences in physiological responses were observed at 4 WAT, decreases in plant growth parameters such as plant width, shoot fresh weight, shoot dry weight, leaf number, and leaf area were observed for the lowest VWC treatment. This suggests that Ardisia pusilla shows physiological responses relatively promptly compared with its growth responses. The amount of irrigation was highest for the 0.5 m3 ․m−3 treatment, and all the irrigation amount was correlated with shoot fresh weight irrespective of treatment. After accounting for convenience and efficient use of water, the 0.4 m3 ․m−3 treatment was determined to be the optimal level required to maintain the performance of Ardisia pusilla, grown indoors with efficient maintenance practices.

목차
Abstract
 서 언
 재료 및 방법
  식물 재료
  실험환경 및 측정항목
  상토 용적수분함량 처리 및 자동관수시스템
  실험 설계 및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산호수의 생육에 대한 용적수분함량의 효과
  산호수의 생리반응 및 관상가치에 대한 용적수분함량의효과
  산호수 최적 생육 및 관상가치 향상을 위한 관수량분석
 초 록
 References
저자
  • Suyun Nam(Department of Biosystems and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 남수연
  • Dong-Hoon Lee(Department of Biosystems Engineering, Chungbuk Natlional University) | 이동훈
  • Jongyun Kim(Division of Biotechnology, Korea University) | 김종윤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