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MPN-PCR 방법을 이용한 Vibrio vulnificus 균수 정량분석 KCI 등재

Quantitative Cell Count of Vibrio vulnificus Cells Based on MPN-PCR Meth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89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3,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V. vulnificus는 그람음성의 호염성균으로 감염 되었을 경우, 복통과 발열 등의 급성 위장염을 일으키며 만성질환자에게 급성 패혈증을 일으키는 매우 높은 치사율의 식중 독균이다. 식품 중에서 V. vulnificus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는 TCBS agar와 같은 선택배지를 이용하는 방법과 PCR 을 이용한 방법이 있으나 온도, 염 및 pH 등과 같은 환경요인에 민감한 V. vulnificus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정확한 균수 정량을 위한 정량분석법 확립의 필요성이 요구된 다. 본 연구에서는 배지 및 염 차이에 따른 V. vulnificus 생육 특성 차이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V. vulnificus 균수 정량분석에 APW 증균 배양을 이용한 MPNPCR 방법이 적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은 해수뿐만 아니라 어패류 등의 시료에서 V. vulnificus 균수 정 량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quantitative count method of Vibrio vulnificus cells. Plate count method is often used to count the number of V. vulnificus cells using thiosulfate citrate bile salts sucrose (TCBS) agar plate. However, this method is unsuitable for counting V. vulnificus cells due to growth inhibition and cell injuries in TCBS medium.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ost probable number-polymerase chain reaction (MPNPCR) method using alkaline peptone water medium for the quantification of V. vulnificus. This MPN-PCR method showed 2 log higher cell number than TCBS agar plate method. Similar results were also found in the control using, Luria-Bertani agar containing 2% NaCl. Thus, this MPN-PCR method can be used a sensitive method for quantitative count of viable V. vulnificus cells in fish and shellfish samples.

목차
ABSTRACT
 Materials and Methods
  균주 및 배양 조건
  증류수에 노출된 V. vulnificus 균수 측정에 대한 배지의 영향
  V. vulnificus 균수 측정에 대한 희석수의 영향
  통계처리
 Results and Discussion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장유미(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Yu-Mi Ja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박슬기(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Seul-Ki Par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정희진(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Hee-Jin Jeong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이장원(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Jang-Won Lee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윤요한(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Yohan Yoo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 박권삼(군산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Kwon-Sam Park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unsan National University)
  • 신일식(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Il-Shik Shin (Department of Marine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김영목(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 Young-Mog Kim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