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Evaluation of the Usefulness of Differential Diagnosis of Breast Mass using Elasticity Score and Elasticity Ratio in Elastography KCI 등재

탄성초음파에서 유방종괴의 감별진단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유용성 평가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31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한국방사선학회 (The Korea Society of Radiology)
초록

본 연구는 유방 전단파 탄성 초음파에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를 이용한 방법이 양성과 악성병변의 감별진단에 유용한지를 평가하였다. 탄성 초음파를 시행한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방조직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후향적인 분석을 하였다. 유방 종괴의 양성과 악성에 따른 5단계의 탄성도 점수와의 동질성 비교는 Fisher's Exact test, 변형비와의 차이검증은 Mann-Whitney U test를 실시하였다. ROC 곡선분석을 통해 악성병변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최적 cut off 값을 결정하였다. 양성과 악성 결절 군의 분류에 따른 탄성도 점수의 동질성 비교와 변형비의 차이검증 결과에서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0), ROC 곡선분석에서 양성과 악성 결절의 예측을 위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의 AUC 0.824, 0.806, cut off 값 3, 4.4로 결정되었다(p=.001). 따라서 탄성도 점수와 변형비는 유방 종괴의 감별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he elasticity score and elasticity ratio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enign and malignant lesion in breast elastography.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core needle biopsy histology.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confirm the difference between the 5-degree elasticity score and the Fisher's Exact test. ROC curve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the elasticity score and the best cut-off value of the elasticity ratio for the prediction of malignant lesion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000) between the homogeneity of the elasticity score and the difference of the elasticity ratio between the benign and malignant lesion groups. On the ROC curve analysis, the elasticity score and the elasticity ratio for predicting benign and malignant lesion were determined as AUC 0.806, 0.824, cut-off value 3, 4.4 (p= .001). Therefore, the elasticity score and elasticity ratio may be useful in the differential diagnosis of breast mass.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1. 연구대상
  2. 연구방법
 Ⅲ. RESULT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탄성도 점수와 Eratio의 분포
  3. ROC 곡선분석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
 요 약
저자
  • Hyun An(Department of Radiology, Inje University, Busan Paik Hospital) | 안현
  • In-Chul Im(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ong-Eui University) | 임인철
  • Hyo-Yeong Lee(Department of Radiological Science, Dong-Eui University) | 이효영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