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브러싱 자극을 이용한 오이와 토마토 공정묘의 초장 억제 KCI 등재

Height Suppression of Cucumber and Tomato Plug Seedlings Using of Brushing Stimulu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09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본 연구는 환경 친화적 방법인 브러싱을 이용한 기계적 자극의 영향을 받는 오이와 토마토 플러그 묘의 생육 억제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오이(Cucumis sativus L. ‘Joeunbaekdadagi’)와 토마토(Solanum lycopersicum L. ‘Mini Chal’)를 2017년 10월 9일 상업용 혼합 상토가 충진된 40구 플러그 트레이(54×27.5×5cm)에 파종하였다. 벤로형 유리온실의 재배환경은 15-25oC의 재배 온도 범위와 50±10%의 상대습도를 유지하였다. 파종 15일후에, 오이와 토마토 묘에 무처리(대조구), 7.5mg·L-1의 diniconazole을 처리하였다. 또한, 오이와 토마토의 brushing 처리는 2, 4, 또는 6시간 간격으로 각각 15일과 20일간 적용되었다. 1회씩 brushing 처리를 하였다. 오이와 토마토의 초장, 하배축, 절간장은 대조구에 비해 diniconazole 처리에서 억제되었다. 잎의 크기는 오이와 토마토 모두 감소하였지만, 반면에 엽록소 값은 diniconazole 처리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오이의 경경은 2시간 brushing 간격 처리에서 가장 두꺼웠다. 지상부와 지하부의 생체중은 diniconazole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Brushing의 적용은 토마토 묘의 지상부와 지하부의 건물중, 충실도를 촉진시킴으로써 묘소질을 향상 시켰다. 토마토 묘의 엽록소 형광은 2시간 처리에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는 brushing 처리에 의한 기계적 스트레스를 나타낸다. 토마토 묘의 상대 생장률은 diniconazole 처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지만, 오이 묘는 모든 처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과적으로, 오이와 토마토 묘의 생육 억제는 생장조절제의 화학 물질에 의한 diniconazole 처리에서 가장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환경 친화적인 관점에서, 2시간의 brushing 간격 처리는 오이와 토마토 묘의 생장에서 화학적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응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ect of height suppression of cucumber and tomato plug seedlings as affected by mechanical stimulus using brushing as environment-friendly method. Cucumber (Cucumis sativus L. ‘Joeunbaekdadagi’) an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L. ‘Mini Chal’) seeds were sown in 40-cell plug trays (54 × 27.5 × 5 cm) filled with growing medium on Oct. 9, 2017. The cultivation environment in a venlo-type glasshouse was maintained as cultivation temperature range of 15 - 25℃ and the relative humidity of 50 ± 10%. Nontreatment and diniconazole (7.5 mg·L-1) application at 15 days after sowing were used as the control. In addition, brushing treatments in cucumber and tomato were applied interval of 2, 4 or 6 hrs for 15 and 20 days, respectively. Plant height, hypocotyl length, and internode length were inhibited for cucumber and tomato in the diniconazole treatment than in the control. The leaf size was reduced, both cucumber and tomato, while the SPAD increased under the diniconazole treatment. However, stem diameter of cucumber was the thickest in the 2 hrs brushing interval treatment. Fresh weights of shoot and root were the significantly lowest in the diniconazole treatment. Application of brushing improved seedlings quality by promoting dry weights of shoot and root, and compactness of tomato seedlings.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of tomato seedlings drastically decreased with 2 hrs treatment, indicating that mechanical stress by brushing treatment. The relative growth rate of tomato seedling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diniconazole treatment, but cucumber seedling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treatments. As a results, height suppression of cucumber and tomato seedlings was best achievement in the diniconazole treatment by the chemical as growth regulator. In an environment-friendly point of view, however, it is considered that 2 hrs brushing interval treatment can be the applicability for replacing the chemical methods in plug seedling growth of cucumber and tomato.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실험재료 및 재배환경
  2. 플러그 묘의 brushing 처리
  3. 조사항목
  4. 실험설계 및 통계분석
 결과 및 고찰
 적 요
 Literature cited
저자
  • 김현민(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Hyeon Min Kim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이혜리(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Hye Ri Lee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정현우(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Hyeon Woo Jeong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혜민(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 Hye Min Kim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황승재(경상대학교 대학원 응용생명과학부,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업식물과학과,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경상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 Seung Jae Hwang (Division of Applied Life Science, Graduate School of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Agricultural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Reserch Institute of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