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Perspective and status on biopesticide development in industr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076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2010년대 들어 화학물 기반의 작물보호제에대한 환경독성 및 잔류 문제의 대두, 병해충에 대한 저항성 증대와 이에 따른 신규 작물보호제 개발 비용의 증가 등은 바이오 작물보호제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키고 있다. 특히 Bayer의 AgraQuest 인수, BASF의 Becker Underwood인수, 신젠타의Pasteuria Bioscience 인수나 Monsanto와 Novozyme의 BioAg., FMC와 Chr. Hansen 등의 기술 및 제품개발 협력관계 구축 등은 바이오 작물보호제에 대한 다국적 작물보호제 기업의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표에서는 미생물을 활용한 글로벌 바이오 작물보호제 개발 동향 및 팜한농에서 개발한 바이오 작물보호제 개발 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바이오 작물보호제 산업화를 위해 요구되는 사항들을 정리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저자
  • Ki-Hoon Oh(Crop protection R&D Center, FarmHannong Co.,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