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How to access the vulnerability of sporadic insect pes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208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기후변화로 인해 농경지의 병해충 발생 세대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노린재류 등을 포함한 일부 해충의 경우에는 발생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볼록총채벌레, 붉은불개미 등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원산 외래해충의유입도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러한 외래종의 국내에서의 정확한 발생특성을 이해하고 이러한 해충의 발생지에서 기후노출지수(생육적온에 놓인 날의 횟수, 발생지역의 상대습도)와 해충의 고유생육 특성과 관련되는 민감도 지수(기주식물, 월동란밀도, 월동생존율 등) 그리고 돌발 해충의 발생시 방제할 수 있는 적응능력 등에 관한 자료를 취합하여 시군구별 이들 해충발생의 취약성(vulnerability)을 평가한다.
시군구별 이들 돌발해충의 발생 취약성 평가를 위한 실태조사(Surveillance)는 정점조사(Fixed plot survey)와 순회조사(Roving survey)를 실시하였고, 특정 지역에 특정 해충의 발생여부를 조사하는 일반실태조사(General surveillance)와 발생량 및 발생시기, 기주식물 등을 조사하는 특별실태조사(Specific survey)를 실시하였고 해충종별로 페로몬 트랩(pheromone trap), 황색끈끈이트랩(yellow stiky trap), 유아등 트랩(light trap) 등을 이용하여 발생여부 및 발생량을 조사하여 분석에 이용하였다.

저자
  • Kwang-Ho Kim(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Bo-Yoon Seo(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Gwan-Suk Lee(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Jum-Rae Cho(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Hong-Hyun Park(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