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ground-dwelling beetles and spiders in fallow and paddy field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490
모든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농경지에서 해충억제 등의 유익한 역할을 하는 거미와 딱정벌레 군집에 대해 논의 휴경이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2018년 3월 비경작기에 전라북도 정읍 소재의 휴경지와 인근 논에서 pit-fall trap 방법으로 지표서식성 거미와 딱정벌레를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휴경지와 논에서 관찰된 거미의 총 종수는 각각 25종 및 21종이었고, 평균 종수는 6.6 및 5.4 종으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군집구성에서는 차이가 있었으며, 휴경지에서는 광릉논늑대거미(Arctosa kwangreungensis)가17.1% 논에서는 별늑대거미(Pardosa astrigera)가 42.5%로 우점하였다. 딱정벌레의 총종수는 휴경지와 경작논에서 23종으로 같았으며, 평균 종수도 4.1종 및 4.5종으로 비슷하였다. 휴경지에서는 가는청동머리먼지벌레(Harpalus chalcentus)가 11.1%이었고, 논에서는 남방폭탄먼지벌레(Pheropsophus javanus)가 9.0%로 우점하였다. 거미와 딱정벌레의 개체수는 두 유형에서 모두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논의 휴경에 의해 지표서식성 딱정벌레와 거미의 밀도보다는 종구성이 크게 달라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저자
  • Jinu Eo(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Myung-Hyun Kim(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Hyung-Kyu Nam(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Soon-Ik Kwon(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
  • Young-Ju Song(Climate change and Agro-ecology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