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항균 펩타이드를 이용한 녹조현상 원인종 Microcystis aeruginosa의 제어 KCI 등재

Application of Antimicrobial Peptides against Microcystis aeruginosa to Control Harmful Algal Bloom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4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환경생물학회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초록

본 연구에서는 CyanoHABs를 제어하기 위해 주요 우점종인 Microcystis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펩타이드의 살조 활성을 조사하고, 구조적 특이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M. aeruginosa 제어 펩타이드를 제작하였다. 본 실험에서 CAMA 유래 펩타이드 CMA1, CMA2와 Helicobacter pylori 유래 펩타이드 HPA3P, HPA3NT3는 처리 48시간 후 각각 67.3, 73.1, 76.7, 69.8%의 최대 살조 효율을 보였다. 또한, 신규 펩타이드 K160242~5는 처리 48시간 후 각각 64.0, 64.1, 66.4, 70.1%의 최대 살조 효율을 보였다. CA-MA 유래 펩타이드는 처리 24시간 이후 세포의 재성장이 관찰되었으므로 세포 표면과의 정전기 인력을 통해 세포를 응집하고 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양친매성 펩타이드는 세포의 재성장이 관찰되지 않았으므로 세포 응집과 더불어 세포 내 침투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세포를 제어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펩타이드의 살조 기작 및 효율에는 구성 아미노산의 종류, 수, 구조 및 펩타이드의 분자량, 처리 농도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펩타이드를 이용한 CyanoHABs의 제어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기작과 관련 인자들의 확인 및 증명이 요구된다.

Microcystis aeruginosa, a freshwater cyanobacteria species known to be one of the most predominant species responsible for cyanobacterial harmful algal blooms (CyanoHABs). It has been frequently associated with the contamination of neurotoxins and peptide hepatotoxins, such as microcystin and lipopolysaccharides-LPSs. CyanoHABs control technologies so far put in place do not provide a fundamental solution and cause secondary pollution linked with the control measures. For this study, algicidal peptides, which have been reported to be non-toxic and to have antimicrobial properties, were employed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eco-friendly control against CyanoHABs. The four peptides (CMA1, CMA2, HPA3P, and HPA3NT3) selected in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algicidal effects against M. aeruginosa cells inducing cell aggregation and flotation. Moreover, the newly generated peptides (K160242-5) with certain modifications also displayed high algicidal activity. The algicidal activity of the peptides was found to depend on the concentrations and structures of each of amino aci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a novel possibility of CyanoHABs control using the non-toxic algicidal peptides.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 법
  1. 펩타이드의 합성 및 정제
  2. 균주 및 배양 조건
  3. 항균 펩타이드의 살조 활성 측정
  4. 양친매성 펩타이드의 살조 활성 측정
  5. 펩타이드의 세포 응집 효과 측정
  6. 통계 분석
 결과 및 고 찰
  1. M. aeruginosa에 대한 항균 펩타이드의 살조 활성
  2. 항균 펩타이드의 구조적 특이성 및 신규 펩타이드디자인
  3. M. aeruginosa에 대한 양친매성 펩타이드의 살조 활성
 적 요
 REFERENCES
저자
  • 한상일(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Sang-Il Ha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 박윤경(조선대학교 생명공학과) | Yoonkyung Park (Research Center for Proteinaceous Materials (RCPM), Chosun University)
  • 최윤이(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Yoon-E Choi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 Ecological Engineering, Korea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