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농산물우수관리제도 (GAP) 적용을 위한 고추농가의 미생물학적 위해도 평가 KCI 등재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Hot Pepper Farm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ystem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777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2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고추재배 농가에 대한 농산물우수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적용을 위한 미생물학적 위해분석을 수행하였다. 경북 청송에 위치한 고추재배 농가 3곳을 선정한 후 재배환 경·도구, 작물, 작업자 및 공중낙하균에 대하여 시료를 수집하였고, 위생지표세균, 병원성 미생물 및 곰팡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일반세균, 대장균군 및 곰팡이는 3 곳의 농가에서 각각 0.7~6.2, 0.2~4.7, 0.4~4.3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고 총 90점의 시료 중 4점의 시료(작물 잎 1점, 농업용 수 1점 및 토양 2점)에서 대장균이 검출되었다. 병원성 미생물 Staphylococcus aureus의 경우 B 농가의 작업복에서만 1.0 log CFU/100 cm2로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는 B와 C 농가의 재배환경·도구와 작업자에서 1.0~2.5 log CFU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다른 병원성 미생물의 경우는 모든 시료에 서 검출한계이하의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고추에 대한 잠 재적인 미생물학적 위해가 확인되었고,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시스템, 예를 들면 GAP와 같은 관리 시스템이 미생물학적 위해로부터 고추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microbiological risk factors in hot pepper farms for the application of good agricultural practices (GAP). Samples were collected from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utensils, plants, workers, and air at 3 hot pepper farms located in Cheongsong, Korea and were tested to detect sanitary indications [aerobic plate bacteria (APC), coliform, and Escherichia coli], foodborne pathogens, and fungi. APC, coliform, and fungi were detected at the levels of 0.7~6.2, 0.2~4.7, and 0.4~4.3 log CFU, respectively, in the three farms. Four (4.4%; l leaf, l irrigation water, and 2 soil) of 90 samples collected were revealed to be E. coli positives. For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was only detected at 1.0 log CFU/100 cm2 in the worker's cloth of B farm, and Bacillus cereus was detected at the levels 1.0~2.5 log CFU in the cultivation environments and utensils and worker of B and C farms. However, other pathogens were not detected. The results demonstrated potential microbiological risks for hot pepper cultivated in the farms. Therefore, a management system to minimize the microbial risk such as GAP is required to ensure the safety of hot pepper.

목차
초록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2.1 고추재배농장 선정 및 시료채취
  2.2 시료 전처리
  2.3 위생지표세균 및 곰팡이 측정
  2.4 병원성 미생물 측정
  2.5 공중낙하균 측정
 Ⅲ 결과 및 고찰
  3.1 위생지표세균 및 곰팡이 측정
  3.2 병원성 미생물 측정
  3.3 공중낙하균
 ≫ Literature Cited
저자
  • 정덕화(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Duck-Hwa Chung
  • 심원보(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Won-Bo Shim (Insti. of Agric.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Corresponding author
  • 김정숙(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eong-Sook Kim (Insti. of Agric. & Life Sci., Gyeongsang National Univ.)
  • 정도영(경상대학교 식품공학과) | Do-Yeong Chung (Dep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Gyeongsang National Univ.)
  • 김경열(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Kyeong-Yeol Kim (Div.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이원경(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Won-Gyeong Lee (Div.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허록원(경상대학교 응용생명과학부(BK 21 program)) | Rok-Won Heo (Div. of Applied Life Science(BK 21 program), Graduate School, Gyeongsang National Univ.)
  • 남민지(한국보건산업진흥원HACCP지원사업단) | Min-ji Nam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Dept. of HACCP Promo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