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말방목 부실초지의 목초생산성 향상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asture Productivity in a horse grazing low productive pastur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480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Scienc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초록

본 연구는 말 방목에 따른 초지 부실화 및 이용연한이 짧아진 초지에 대해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오차드그라스+페레니얼 라이그라스 혼파 경운초지(paddock No.39)과 보파초지 조성(paddock No.44) 및 톨 페스큐 단파 경운초지(paddock No.64)를 조성한 후 2016년과 2017년에 거쳐 목초율, 건물생산성 및 사료가치에 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목초비율은 No.64가 2016년 81%, 2017년 75%로 No.39 67% 및 60%, No.44 58% 및 54%보다 최대 21%나 높았다. 연평균 건물생산량은 No.64구가 13,234kg/ha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 No.39, No.44로 각각 10,636kg/ha 및 10,235kg/ha 순이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No.39(갱신혼파) 12.16%로 가장 높았고, N0.44(보파혼파)와 No.64(톨 페스큐 단파)가 각각 10.75%와 10.73%를 보였다. NDF함량(2년평균)은 No.44구가 55.90%로 No.64 및 No.39 각각 58.42%와 57.00%에 비해 다소 낮았다. ADF함량(2년 평균)은 No.44구가 NDF함량과 동일한 경향인 31.07%로 No.39 및 No.64 각각 31.71% 및 32.65% 보다 낮았다. P의 함량(평균값)은 No.44 및 No.64구가 0.29%로 No.39 0.27% 보다 높았고, K 함량은 2.23%~3.83%의 농도를 보였으며 처리 간에는 No.44구가 2년 평균 3.03%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No.39와 No.64가 각각 3.01% 및 2.81%를 보였다. Ca함량(2년 평균)은 No.39구가 0.28%로 가장 높았고 No.44구 및 No.64구가 각각 0.26% 및 0.22%를 보였다. Mg함량(2년평균)은 No.39구가 0.26%로 No.44 및 No.64구 0.22% 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고, Na함량(2년평균)은 No.64, No.44 및 No.39구에서 각각 0.03%, 0.05% 및 0.063% 순의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연도 간에는 큰 편차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를 종합해보면 목초의 영양가치면에서는 갱신혼파(No.39)가 높았으나 목초 구성률 및 생산성을 고려하면 톨 페스큐 단파구(No.64)가 바람직한 것으로 났다.

In this study, we created grassland establishment(paddock No.39), grassland improvement(Paddock No.44), and tall fescue seeding(paddock No.64), and the rate botanical composition, DM yield, nutritive value were examined through 2016 to 2017.
The rate of botanical composition was 81% in 2016, 75% in 2017, up to 21% higher than No.39 67%, 60%, No.44 58% and 54%. The annual average DM yield was the highest at 13,234kg/ha in the district, followed by No.39, No.44, followed by 10,636kg/ha and 10,235kg/ha, respectively.
The crude protein content was the highest at No.39 12.16%, with No.44 and No.64 showing 10.7%, respectively. NDF content (average for two years) was 55.90% in No.44 and No.39, slightly lower than 58.42% and 57.00%, respectively. The two-year ADF average content was 31.07% for the same trend as the NDF capacity in the No.44, below 31.71% and 32.65%, respectively.
To sum up the results, Although there was a high level of incentive sowing plot(No.39) in nutritive value, considering the botanical composition and productivity of the pasture, it is also deemed desirable to have a tall fescue plot(No.64)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재료 및 방법
 Ⅲ. 결과 및 고찰
  1. 목초와 잡초 구성율
  2. 목초의 생산성
  3. 사료가치
 Ⅳ. 요약
 Ⅵ. REFERENCES
저자
  • 김영진(한국마사회) | Young Jin Kim (Korea Racing Authority)
  • 송상택(제주농업생명과학박사연구회) | Sang Taek Song (Jeju Doctoral Research Institute for Agricultural Life Science)
  • 황경준(한국공항) | Kyung Jun Hwang (Korea Airport Service) Corresponding author
  • 김시현(한농바이오산업(주)) | Si Hyun Kim (Hannon Bio Industry Corp.)
  • 박남건(난지축산연구소) | Nam Gun Park (Subtropic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