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SMA 와이어를 이용한 연결재의 인발저항성능 평가 KCI 등재

Evaluation of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SMA Wire Connecto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5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초록

PC구조형식은 사전 제작된 PC 부재를 현장에서 거치한 후 추가 긴장력 도입 및 연결부 시공의 과정을 거쳐서 구조물을 완성시키는 형식이다. 하지만 현장타설부와 PC부 사이 부착면에서 균열발생 및 수밀성 감소에 따른 누수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균열 및 누수문제는 철근의 부식을 초래할 수 있으며, 이는 구조물의 장기사용 내구성을 급격히 감소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PC 구조물 접합부 경계면에서의 부착력 부족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형상기억합금을 활용한 표면처리 부재를 제안하고,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이용한 연결부의 성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해당 기술 실현을 위한 사전연구로서 와이어의 개수와 절곡유무, 그리고 형상기억효과 발현 유무에 따른 연결재의 인발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서 SMA 연결재의 인발저항성능을 결정짓는 연결부의 형상효과와 형상기억발현효과, 그리고 부착효과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었다. 또한 이에 대한 설계변수별 예측식을 제안하였고, 예측 값과 실험값 간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Precast concrete (PC) structure is one of the type of the structures which is made in a facility prior to installing it to a construction field. The contact surfaces between two PC structures should be treated for obtaining enough binding force by inducing prestressing force. However, in the many cases, the contact surface causes the crack and leakage of water. These cracks and water leakage can cause the corrosion of the rebar, and the corrosion of the rebar can severely reduce the long-term durability. In this study, the SMA wire connector is suggested to solve the problem with the contact surfaces between two PC structures. The pull-out resistance of the suggested SMA wire connector is evaluated by conducting the tests to fin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wires, shape of connector part, and shape memory effect.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empirical formula is suggested to estimate the pull-out resistance related with the effects of the shape of the connector, shape memory effect, and the adhesive force. The validity between the estimated pull-out resistance and the measured value is confirmed.

목차
Abstract
 1. 서 론
 2. 시험 개요
  2.1 시험체 상세
  2.2 시험방법
 3. 시험 결과 및 분석
  3.1 시험체별 하중-변위 관계
  3.2 시험변수별 인발저항성능에 대한 기여효과 분석
 4. 결 론
 References
 요 지
저자
  • 정치영(부산대학교 지진방재연구센터) | Chi-Young Jung
  • 우태련(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Tae-Ryeon Woo
  • 이종한(대구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Jong-Han Lee
  • 정진환(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Jin-Hwan Cheung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