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한강 보 구간 유수성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시 · 공간적 분포 특성 KCI 등재

Spatio-temporal Distribution Patterns of Lotic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Namhan- River Weir Sec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560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600원
생태와 환경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초록

한강수계 남한강의 보 (강천보, 여주보, 이포보) 공사 후 수변부 여울 구간의 물리적 환경의 변화에 따른 유수성 저서동물의 군집 변화를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보에 의한 여울구간의 소실은 유속, 하상 등 물리적 환경의 변화를 야기하여 수질요인과는 독립적으로 수생태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둘째, 남한강 보 구간의 수변부 물리적 서식환경의 복합적인 변화는 유수성 분류군의 군집구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유수성 지표 후보종 157 분류군은 수생태계 변화의 원인 분석을 비롯한 하천 수생태계 복원 및 재자연화 등에 유용한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향후 유속변화에 대한 수생태계 영향을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분류군별 유속에 대한 저항성 또는 선호도를 바탕으로 한 지표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Lotic organisms in streams are affected by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s such as increase of heavy rainfall event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flow regime change caused by weir constructions. Based on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157 Korean benthic macroinvertebrate taxa were selected species as potential lotic candidates. Three shoreline sites (total 54 samples) were surveyed consecutively before (’08~’09), during (’10~’12) and after (’13~’16) the construction of the weirs (Gangcheon, Yeoju and Ipo weir) in the Namhan-River for tracing changes of lotic communities. As a result, water flow of the Ipo-wier and water quality variables such as T-N, T-P, BOD5, etc. of the weir section revealed no significant changes. Physical habitat conditions such as the flow velocity and streambed substrate evidently changed. Particulary, flow velocity measured at sampling points along with each microhabitat drastically decreased and particle size of streambed substrate steadily decreased after weir constructions. Lotic organisms also decreased after construction, especially Hydropsychidae (insecta: Trichoptera) acutely decreased from 3,526 ind. m-2 to 2 ind. m-2 As a result of CCA, lotic species such as Hydropsyche valvata, Hydropsyche kozhantschikovi, Cheumatopsyche brevilineata, Cheumatopsyche KUa, Macrostemum radiatum, etc. correlated with the flow velocity, streambed substrate. Therefore, the decrease of the flow velocity and substrate size after weir construction seemed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decrease of the individual abundances of the lotic organisms independently of water quality.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ecosystem on the flow regime change more accurately,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ndicator species based on the resistance or preference of the flow.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조사 지점 및 시기
  2. 조사 방법
  3. 유수성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선정
  4. 통계 분석
 결 과
  1. 남한강 보 구간 환경요인 변화
  2.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시 · 공간적 분포 변화
  3. 환경요인과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상관관계
 고 찰
  1. 남한강 보 구간 환경요인 특성
  2. 남한강 보 구간 유수성종 분포 특성
 적 요
 REFERENCES
 Appendix
저자
  • 김진영(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Kim, Jin-Young
  • 이승현(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Seung-Hyun Lee
  • 이경락(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Kyung-Lak Lee
  • 노성유(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Seongyu Noh
  • 신유나(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Yuna Shin
  • 이수웅(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Su-Woong Lee
  • 이재관(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연구부) | Jaekwan Lee
  • 원두희((주)생태조사단) | Doo-hee Won
  • 임성호((주)생태조사단) | Sung-ho Lim
  • 권용주(경기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 Yongju Kown
  • 공동수(경기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 Dongsoo Kong Corresponding author